[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점포 수가 경쟁력"…미니스톱 인수한 세븐일레븐

입력 2022-02-14 10:00  


편의점 시장이 ‘빅3’ 체제로 재편될 전망이다.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롯데가 미니스톱을 인수한다. 탄탄한 양강 구도를 이루고 있던 CU와 GS25를 턱밑까지 추격할 수 있게 됐다. 롯데지주는 한국미니스톱 지분 100%를 3134억원에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맺었다고 지난달 21일 공시했다. 유통업계는 롯데가 이번 인수합병(M&A)을 통해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한다.
덩치 클수록 구매력은↑ 비용은↓
규모의 경제란 기업이 생산량을 늘림에 따라 제품 하나를 만드는 단위당 비용이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편의점 산업에서는 점포 수가 매출과 수익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다. 점포 수가 많을수록 납품업체와의 협상력이 커져 물건을 더 싼 값에 떼어올 수 있다. 한꺼번에 많은 상품을 나르면 물류 비용도 아낄 수 있다.

세븐일레븐의 점포 수는 지난해 말 기준 약 1만1200개로 CU(1만5855개), GS25(1만5500개)와 차이가 컸다. 세븐일레븐에 미니스톱(2600개)을 합치면 롯데가 보유한 총 편의점 점포 수는 1만3800개로 늘어난다. 3강 체제를 구축하는 동시에 4위 이마트24(5800개)와 격차를 벌릴 수 있다. 일본 이온그룹이 보유해온 미니스톱은 즉석 조리식품 등에 강점을 보이긴 했지만, 편의점 시장이 토종 대형 브랜드 위주로 재편되는 동안 규모의 경제를 이루는 데 실패했다는 지적을 받는다.

제조업에서는 ‘덩치’에서 나오는 힘이 더욱 극대화된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조선, 철강, 화학 같은 굴뚝산업에서는 국내외 업체 간 증설 경쟁이 자주 벌어진다. 같은 업계 기업끼리 합치는 M&A도 활발하다. 생산량을 늘릴수록 수익이 높아지는 규모의 경제 효과를 노린 것이다.
제조업에서는 살벌한 증설 경쟁
생산비용은 생산량과 무관하게 들어가는 ‘고정비용’과 생산량에 비례해 달라지는 ‘변동비용’으로 나뉜다. 고정비용은 어차피 늘 일정하기 때문에 생산량을 늘릴수록 제품 하나를 만드는 단위당 비용은 내려간다. 이는 고스란히 기업의 수익으로 돌아오게 된다. 규모의 경제는 대량생산의 이익, 가입자 증가에 따른 이익, 외형 성장에 따른 비용절감 이익 등을 아우르는 의미로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규모의 경제와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가 큰 개념은 ‘범위의 경제(economy of scope)’다. 범위의 경제는 여러 종류의 제품을 함께 생산할 때 발생하는 총비용이 각 제품을 별도 기업이 생산할 때 총비용보다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은행들은 과거 예·적금과 대출 상품만 팔았지만 이제는 펀드, 보험 상품까지 취급한다. 김밥천국은 김밥만 팔지 않고 라면, 볶음밥, 찌개 등 온갖 메뉴를 준비해 더 많은 소비자를 끌어모은다. 결론적으로 규모의 경제는 ‘대형화’, 범위의 경제는 ‘다양화’를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