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한국경제신문이 국내 대형 증권사 고객 200만 명의 최근 3개월 수익률(1월 말 기준)을 분석한 결과 상위 10%(7.3%)의 평균 수익률과 하위 10%의 수익률(-31.8%) 격차가 40%포인트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0% 투자자는 증시 난도가 높아진 상황에서도 플러스(+) 수익을 내며 선방했다. 반면 하위 10%는 최근 석 달간 30%의 손실을 기록할 만큼 부진을 겪었다. 이 기간 코스피지수는 10.35% 하락했다.
수익률을 가른 결정적 요인은 투자자들의 ‘회전율’이었다. 회전율은 투자자가 자신의 계좌를 통해 얼마나 빈번히 종목을 교체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다.
예를 들어 회전율이 100%인 고객은 회전율을 계산한 기간 동안 전체 종목을 팔고 다시 샀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3개월간 상위 10% 고객들의 회전율은 77%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하위 10%의 회전율은 상위 10%의 2배가 넘는 157%에 달했다. 계좌 안에 담긴 종목들을 빈번히 사고팔았다는 얘기다.
여성 고객(53.96%)보다는 남성의 회전율(81.83%)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비교적 장기투자를 하는 20대 이하 미성년 계좌의 회전율이 31.64%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회전율은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차츰 높아지는 흐름을 보였다. 20대는 56.34%, 30대 60.23%, 40대 68.64%, 50대 78.71%, 60대 이상 79.12% 순이다.
종목 교체가 무조건 나쁜 수익률을 가져온 것은 아니다. 상위 10%(77%)의 회전율은 전체 평균(67.6%)을 웃돌았다. 성장 우량주로 비교적 포트폴리오를 채우고 있지만 변화하는 증시 색깔에 맞춰 종목을 효과적으로 교체해 수익률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실제 상위 10%의 포트폴리오 변화를 살펴본 결과 금리 인상기를 앞두고 수혜 종목으로 꼽혀온 우리금융지주 비중(2위)을 늘렸다. 대신 일진머티리얼즈 등 2차전지주 비중을 축소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주가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1차적으로 빈번하게 종목을 교체할 경우 거래 수수료 등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익률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상당하다”며 “우량 자산에 대한 중장기 투자보다 본성에 충실한 추격 매수를 할 경우 횡보하는 증시 상황에서 높은 수익률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