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2008년 2월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의 금융정책국과 금감위를 통합한 금융위원회가 출범하기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평가다. 실제 현 감독체계는 외환위기가 한창이던 1997년 12월 제정된 ‘금융감독기구 설치법’에 따라 합의제 행정기구인 금감위(1998년 4월)와 1999년 1월 금융감독원이 출범하면서 그 토대가 만들어졌다. 은행감독원, 증권감독원, 보험감독원 등 업권별로 나뉘어 있던 금융감독 기능을 한데 모아 체계를 일원화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였다. 실제 초대 금감위원장(금감원장 겸임)을 지낸 이헌재 전 부총리는 은행 및 대기업 구조조정을 주도하면서 국내 금융 및 산업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그러다 2000년 말 상호신용금고(현 저축은행) 부정 대출에서 비롯된 권력형 게이트인 ‘진승현·정현준 게이트’와 2003년 ‘카드 사태’ 등 대형 금융사고가 잇따라 터지면서 그때마다 금융감독 체계가 근본 원인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금감위는 ‘관치금융’의 상징이자 적폐로 간주됐다. 정부는 태스크포스(TF) 등을 꾸려 금감위를 폐지하고 감독 권한을 분산하는 취지의 혁신안을 만들었지만 번번이 유야무야됐다.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고 나서야 재경부 금융정책국과 금감위를 합쳐 금융위를 만들고 그 아래에 금감원을 두는 개편안이 현실화됐다.
그럼에도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무엇보다 저축은행 사태(2011년), 동양종금증권 사태(2013년), 사모펀드 환매 중단(2019년) 등 대형 금융 사고가 꾸준히 이어졌다. 금융위가 금융정책과 감독 기능을 다 가지면서 감독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해졌고, 대형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이용우 의원은 “현 체제에서 사모펀드 사태 등을 막지 못한 감독당국의 책임론에 대해 여야 의원들의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며 “금융위와 금감원이 뭔가 문제가 생기면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현행 시스템을 반드시 뜯어고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전직 금융위원장도 금융위 해체 및 금감위 설립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그는 “시스템에 결함이 있는 게 아니라 운영 방식의 문제”라며 “중요한 것은 금융위와 금감원이 한목소리를 내는 것이다. 그래야 시장의 혼란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