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수업받고 메타버스 전문가?…부실 자격증 '우후죽순'

입력 2022-02-20 06:00   수정 2022-02-20 16:56

“메타버스 강사과정 수강생 모집, 2주 30시간 비대면 교육, 수강료 120만원.”
신규 수강생을 모집하는 한 메타버스 단체의 온라인 문구다. 전문가를 양성해 자격증까지 주겠다는 이 강좌의 속을 찬찬히 뜯어보면 금세 고개를 갸웃거리게 된다. 온라인에 올라와 있는 실습 결과물부터가 초보자 수준이기 때문이다. 사용된 프로그램도 네이버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가 무료 공개한 ‘빌드잇’이다. 제페토 관계자는 “누구나 가상 공간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그램”이라고 말했다. 지형?오브젝트 유형 등 기본 조작법만 익히면 강의를 따로 듣지 않아도 프로그램 이용에 무리가 없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메타버스, NFT(대체불가능토큰) 등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정보기술(IT) 관련 민간자격증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 가운데 상당수가 실용성 없는 ‘무늬만 자격증’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문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실제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 수준과도 동떨어져 있다는 평가가 많다.
한 메타버스 전문가는 “자격증 한 개가 아쉬운 취준생들의 궁박함을 활용한 상술이 IT 열풍을 타고 슬그머니 확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주 수업받고 메타버스 전문가?
20일 한국직업개발능력원 내 민간자격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새로 등록된 메타버스 자격증만 22개에 이른다. 메타버스비즈니스전문가, 메타버스취업트레이너, 메타버스비즈니스지도사 등이다. 공인된 민간자격증은 없다. 수강료는 50만원 안팎이 주를 이루지만, 최고 120만원짜리 ‘속성 과외’도 있다. 작지 않은 금액인데도 상당수 과정은 클래스마다 10~20명을 채울 정도로 수강생이 끊이지 않고 있다.

문제는 수업과 자격증의 질이다. 메타버스 기초 개념과 플랫폼 이용법을 길어야 4주 정도만 ‘속성’으로 가르치고도 강사 자격증을 내준다. 서울에 있는 A아카데미의 경우 지난달 ‘메타버스 전문강사’ 자격증 9기 2주 과정을 모집했다. 화상 수업에서는 제페토, 게더타운 등 플랫폼 조작법과 NFT 개념을 강의한다. 완강하면 메타버스 부문 강사 인증서가 발급된다. 별도 시험을 통과하면 ‘메타버스콘텐츠전문가’ 자격증도 준다. 플랫폼에서 가상 공간을 제작해 발표하고 간단한 필기시험을 치르는 게 전부다. 한 수강생은 “수업 내용을 확인하는 수준에 그쳐 사실상 수강생 전원이 자격증을 받는다”고 털어놨다.

‘초고속 자격증 양산’에 집중하다 보니 수업 내용은 수준 이하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정수 명지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는 “현재 서비스 중인 메타버스 플랫폼 사용법은 개인이 충분히 독학 가능한 난도”라고 했다. 김상균 강원대 산업공학과 교수는 “높은 수강료에 비해 교육 내용은 기초적인 맵이나 캐릭터 만들기 등으로 미흡하다”며 “자격증 취득은 수강생 입장에서 해당 산업을 조금이나마 공부했다는 만족감을 충족하는 데 그치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메타버스 산업의 급팽창으로 인력 확보가 급한 기업의 시각도 다르지 않다.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를 운영하는 SK텔레콤 관계자는 “최근 기업들은 어학 점수나 자격증 등 정량 요인보다 지원자의 직무 적합성을 훨씬 중요하게 본다”며 “민간자격증을 여러 개 취득해도 실무 능력을 현장에서 입증하지 못하면 취업이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고 전했다.
매년 5000종 신설 ‘자격증 공화국’
민간자격기본법에 따르면 법인, 단체, 개인은 법에 명시된 특수 분야를 제외한 전 분야에서 민간자격을 신설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자격증은 넘쳐난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민간자격정보서비스에 등록된 민간자격증 수는 4만4896건에 이른다. 2019년부터는 매년 5000건 이상의 민간자격증이 신설되고 있다. 작년에 등록된 새 민간자격증만 5943건이다.

‘부실’ 시비가 잦은 분야는 메타버스 같은 최근 인기가 높은 IT분야다. B메타버스 단체가 개설한 메타버스 자격증 강좌의 경우 메타버스 스타강사 강연, 프레젠테이션 만들기 등 실무와 무관한 수업을 끼워 넣어 시간수를 맞췄다. 반면 난도가 높은 블록체인 이론 수업은 하루에 불과하다.
최근 2~3년 새 우후죽순 생겨난 수십 종의 인공지능, NFT 관련 자격증도 상황이 비슷하다. 최경진 가천대 법학과 교수는 “새롭게 주목받는 기술이 유행처럼 번질 때마다 지금처럼 그 기술의 이름만 가져온 무의미한 민간자격증이 생기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허술한 민간자격증 관리 제도부터 문제라는 주장도 나온다. 정부는 담당 부처별로 민간자격증 등록 절차에만 관여할 뿐 자격증의 직무 내용이나 합격 조건 등 질적인 부분은 별도 심사하지 않는다. 최경진 교수는 “대부분의 민간자격증 직무 내용에 자격증 시험을 담당하는 기관이나 자격증의 전문성에 대한 정보가 없다”며 “자격증을 홍보하는 문구나 자격증을 쓸 수 있는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만 기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어떤 법인이 어떤 절차로 자격증 취득 과정을 운영하는지, 취득한 자격증을 유관 산업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등 정부의 관리?감독이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소현 기자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