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21년 국제투자대조표’를 보면 개인·기관이 보유한 해외 주식·펀드 등 지분증권 잔액은 작년 12월 말 기준 5885억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2020년 말(4638억달러)에 비해 1247억달러 증가했다. 연간 증가폭 기준으로 통계를 작성한 1994년 후 최대치다.
해외 지분증권 잔액이 급증한 이유는 두 가지다. 개인과 기관이 투자처를 다변화하면서 사들인 미국 주식 잔액이 크게 불어났기 때문이다. 이 금액이 작년에 685억달러에 달했다. 두 번째는 미국 증시가 뛰면서 평가차익이 562억달러를 기록한 영향이다. 나스닥지수는 지난해 21.4% 상승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DJIA)는 18.7%, 유로스톡스50지수는 21.0% 뛰었다.
한국 투자자들은 주로 나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술주를 쓸어 담았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작년 국내 투자자의 순매수 1위 해외 주식은 미국 테슬라로 28억6803만달러에 달했다. 그 뒤를 애플(7억7165만달러), 나스닥100지수 실적의 세 배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인 TQQQ(7억5701만달러) 등이 이었다. 시장금리가 사상 최저치로 내려가자 고금리·고수익을 찾아 해외로 눈을 돌린 결과다.
한국 개인·기관이 사 모은 해외 주식이 ‘외환 안전판’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은이 발표한 ‘2021년 12월 경상수지’에 따르면 서학개미와 기관이 보유한 해외 주식의 배당수입을 나타낸 ‘증권투자배당수입’은 지난해 91억8300만달러로 역시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배당수입이 경상수지 흑자폭 증대에 적잖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출렁이면 해외 주식 등 대외자산을 팔고 원화로 환전하려는 한국 기관·가계의 수요도 커질 수 있는 만큼 환율 등 금융시장 변동성을 줄여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순대외금융자산은 지난해 12월 말 6379억달러로 1718억달러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만기가 1년 이하인 단기외채를 외환보유액으로 나눈 값인 단기외채비율은 35.9%로 전년 말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