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에서 공장을 운영 중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현지 상황을 수시로 점검하며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러시아를 오가는 물류가 중단되면 부품을 조달하거나, 생산품을 실어나르는 데 어려움이 생긴다. 아직까지는 원자재와 부품을 충분히 확보해 공장 가동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사태가 장기화하면 러시아 생산 물량을 다른 공장으로 돌려야 하는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모스크바 인근 칼루가 지역에서 TV를, LG전자는 모스크바 외곽 루자 지역에서 가전과 TV를 생산 중이다.
러시아 물류 서비스를 중단한 물류회사는 머스크뿐이 아니다. MSC와 CMA, 하파크로이트, 오션네트워크익스프레스 등도 서비스 중단을 선언했다. 미국의 대형 로펌인 그린버그트라우리그의 로라 라비노비츠 무역 전문 변호사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물류 마비가 상당히 진행된 상황이기 때문에 러시아 사태가 약간의 충격만 줘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삼성과 LG는 코로나19로 인한 부품 수급난을 겪으면서 공급망관리(SCM)를 혁신했다. 한 공장에서 차질이 발생하면 다른 공장에서 즉시 백업이 가능하도록 부품과 제조방식을 모듈화했다. 다만 러시아 사태가 세계적인 물류 마비로 확산될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컨틴전시 플랜을 마련해둔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들은 미국의 러시아 수출통제 조치인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 적용에도 주목하고 있다. FDPR이 적용되면 미국 기업이 아니더라도 미국의 소프트웨어나 설계를 활용한 경우 수출이 금지된다.
유럽연합(EU) 27개국과 호주, 캐나다, 일본, 뉴질랜드, 영국 등 32개국은 미국에 준하는 독자 제재에 나서 이 규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다. 한국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았다.
한국 기업들의 현지 주력 판매 제품인 스마트폰과 자동차가 FDPR 적용을 받을지가 관건이다. 삼성전자의 러시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약 30%로 1위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