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당선인의 승리 주역은 단연 국민의힘 인사다. 국민의힘 인사들은 15년 이상 이어져오던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 간 계파 갈등을 접고 ‘정권교체’ 명분 아래 윤 당선인에게 힘을 보탰다.
권 본부장은 선거운동 초반 혼란했던 매머드급 선거대책위원회 해체 후 실무형 선대본부를 이끌면서 선거운동을 안정시켰다. 선대본부가 자리를 잡자 당내 ‘스페셜리스트들(전문가들)’이 속속 합류해 힘을 더했다.
원희룡 전 제주지사는 정책본부장을 맡았고 경찰 출신인 윤재옥 의원과 이철규 의원은 각각 선대부본부장과 전략기획본부장으로 조직 관리를 주도했다. MBC 기자 출신인 김은혜 의원은 공보단장을, 윤 당선인의 입당 전부터 지지 의사를 밝히며 지원해온 이양수 의원은 선대본부의 ‘입’인 수석대변인을 맡았다.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인 박대출 의원은 유세본부장을, 초선 박성민 의원은 조직본부장을 맡아 윤 당선인의 전국 유세를 지원했다.
이준석 대표는 상당 기간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과 갈등을 빚었지만, 세대포위론을 대선 전략으로 내세우면서 ‘영남 대 호남’으로 대표되는 지역구도 중심의 대선판을 흔들어 놨다. 세대포위론은 국민의힘의 전통 지지층인 60대 이상에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에 실망한 2030세대의 지지를 더해 4050세대 지지세가 강한 민주당을 꺾자는 전략이다. 진보 성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던 2030세대를 국민의힘 지지층으로 돌리는 데 30대 ‘0선’으로 첫 제1 야당 수장이 된 이 대표의 역할이 컸다.
김기현 원내대표도 위기 순간마다 ‘갈등 중재자’로 나서 주목받았다. 당내에서 선거 승리의 숨은 공신으로 꼽히기도 한다. 선대본부 실무진에선 우승봉 공보부단장과 최지현 수석부대변인, 일정을 총괄한 강명구 전 영등포구갑 당협위원장이 꼼꼼한 실무 능력으로 윤 당선인의 인정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수행실장을 맡은 이용 의원과 김병민 대변인은 윤 당선인이 가는 현장마다 동행하면서 신뢰를 얻었다.
윤 당선인과 40년 지기인 서울대 법대 ‘79학번’ 동기그룹의 이철우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석동현·신용락·이은재 변호사도 선거 막판까지 조언자 역할을 자처하면서 윤 당선인의 버팀목이 됐다.
검사 출신인 국민의힘 의원들도 캠프에서 역할을 톡톡히 했다. 윤 당선인과 함께 검사 생활을 한 정점식 의원은 네거티브검증단장을, 유상범 의원은 법률지원단장을 맡았다. 검찰 인맥으로는 자타공인 ‘윤석열 사단’의 핵심인 윤대진 법무연수원 기획부장과 한동훈 사법연수원 부원장이 주목받는다.
노무현 정부에서 정책실장과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지낸 김병준 전 부총리도 해체 전 선대위에서 상임선대위원장을 맡았다. 이용호 의원과 민주당 원로인 박주선 전 국회부의장, 김동철 전 의원도 윤석열 캠프에 합류해 호남지역 교두보 역할을 했다.
선거 막판 극적인 단일화를 통해 합류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안 대표 측 단일화 실무총괄인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도 정권교체에 기여했다. 윤 당선인은 향후 인수위원회를 비롯해 국정 운영 전반에서 안 대표와 협력하기로 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 석좌교수와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도 캠프에 참여해 주목받았다.
핵심측근 그룹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이 대표적이다. 장 의원은 안 대표 측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과의 단일화 실무 협상을 책임지며 야권 단일화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다. 선거운동 기간 막판 성광제 KAIST 교수의 자택에서 윤 당선인과 안 대표의 새벽 ‘단일화 담판’을 주선했다. 성 교수는 장 의원의 매형이자 안 대표의 지인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도 윤 당선인의 측근으로 통한다. 권 의원이 윤 당선인과 막역한 관계로 알려진 건 지난해 5월부터다.
당시 윤 당선인은 정치 입문을 선언했지만 국민의힘에는 입당하기 전이었다. 그런 상황에서 윤 당선인이 처음 만나 식사한 정치인이 권 의원이었다. 권 의원은 동갑내기 친구로, 윤 당선인에게 각종 현안을 조언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권 의원 지역구인 강릉은 윤 당선인의 외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정진석 국회부의장은 윤 당선인의 정치 입문을 도운 정치인 중 한 명이다. 정 부의장은 윤 당선인이 평검사이던 시절부터 교류해왔다. 정 부의장은 지역구가 충청권인 만큼 윤 당선인 가족과도 서로 잘 알고 지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 부의장은 윤 당선인이 여소야대 국면에서 국정을 운영해야 하는 상황에서 국회에서 여야 갈등을 조정할 ‘키맨’으로 꼽힌다.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은 국민캠프 종합상황실 총괄부실장으로서 윤 당선인을 지원했다. 윤 의원은 홍준표 의원이 경남지사를 지낼 때 부지사로 보좌해 당초 ‘친홍(친홍준표)’으로 분류됐다. 그러나 윤 당선인이 정치에 입문하는 데 도움을 주면서 ‘윤핵관’으로 변신했다.
‘윤핵관’은 윤 당선인이 대선 후보 시절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마찰을 빚는 과정에서 당내 갈등의 뇌관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당시 갈등은 대선 정국에서 극적으로 봉합됐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정권교체에 성공한 만큼 향후 당권 경쟁 과정에서 이 대표와 ‘윤핵관’의 갈등이 재연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책브레인
이 전 실장은 윤 당선인이 정계에 입문하기 전부터 도움을 줬다. 윤 당선인은 사석에서 “삼고초려해서 모셨다”고 한 적이 있다. 기획재정부 예산실장과 2차관, 국무조정실장을 지낸 정통 경제관료 출신이다.
강 전 수석은 윤석열 캠프의 경제 공약을 막후에서 다듬고 조율한 ‘정책 실세’로 거론된다. 선대본부에선 비서실에서 후보의 메시지와 일정, 정책을 최종 조율하면서도 외부에는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 출범 당시 인수위원회에 참여했고 19대 국회의원과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내 이론과 실무를 겸비했다. 사회복지 정책 분야에선 김 전 수석이 독보적이다. 19대 국회에 비례대표로 입성한 후 박근혜 정부 때 청와대 고용복지수석을 지냈다. 김소영 교수는 거시경제와 금융 분야를 아우르는 ‘경제 책사’로 꼽힌다.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이라는 윤 당선인 경제 공약 캐치프레이즈의 뼈대를 그렸다. 정책본부 내 ‘국민과 함께 뛰는 경제정책본부장’을 맡았다.
부동산 정책은 박근혜 정부에서 국토교통부 1차관을 지낸 김경환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가 전담했다. 디지털플랫폼 정부 등 산업과 기술 정책은 김창경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교수가 맡았다. 안상훈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복지 정책을 뒷받침했다. 선대본부에서 지속 가능한 복지국가 정책본부장을 맡았다. 교육 정책은 나승일 서울대 농산업교육과 교수, 조영달 서울대 사회교육과 교수가 담당했다.
김성한 고려대 교수는 당선인 ‘외교 멘토’로 불린다. 윤 당선인과 대광초등학교 동기로 정치 입문 전부터 외교·안보 분야를 조언했다. 윤 당선인이 검찰총장에서 물러났을 땐 주 2~3회 난상 토론을 벌였다고 한다. 이명박 정부 말기 외교통상부 2차관으로 일했다. 선대본부 외교안보정책본부장이다. 윤덕민 한국외국어대 석좌교수도 외교 정책 자문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동훈/김인엽 기자 leed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