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장은 “법과 원칙에 따라 본연의 임무를 충실하게 수행하겠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전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근인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적으로 사퇴를 압박한 것에 대해 사실상 거부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권 의원은 한 방송에 출연해 김 총장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할 의지가 있으면 임기를 채우는 것이고 지금까지와 같은 행태를 반복하면 본인이 스스로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표적 친여 검사인 김 총장은 지난해 6월 취임했다. 임기 만료까지 1년3개월가량 남았지만 대선 이후 “자리를 지키기 쉽지 않을 것”이란 예측이 끊이지 않는다. 윤 당선인이 검찰총장 시절 문재인 정부와 갈등을 겪다가 물러난 직후 그 빈자리에 앉은 인물이어서다.
윤 당선인이 떠난 뒤 검찰에선 이른바 ‘윤석열 사단’으로 불리는 특수통 검사들이 줄줄이 좌천됐지만, 김 총장을 비롯한 친여 검사들은 영전했다.
1988년 검찰총장 임기제(2년)가 도입된 뒤 임명된 총장은 총 22명으로 이 중 임기를 채운 인물은 8명에 그친다. 임기 도중 그만둔 검찰총장 중 2명이 정권 교체기에 사의를 밝혔다. 김각영 전 총장(32대)이 노무현 정부 출범 후, 김수남 전 총장(41대)이 문재인 정부 출범 다음 날에 각각 사퇴 의사를 밝혔다.
김 총장의 사퇴 거부로 검찰 간부들의 거취를 둘러싼 신구 권력 간 마찰이 한동안 이어질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또 다른 친여 성향 검사인 김관정 수원고검장도 최근 불거진 사퇴설에 대해 이날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서울동부지검장을 맡았던 2020년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 아들의 군 휴가 미복귀 의혹에 연루된 인물들을 모두 무혐의 처분했다. 김 고검장 외에 검찰 요직에 있는 친여 인사로는 이성윤 서울고검장, 이정수 서울중앙지검장, 심재철 서울남부지검장, 박은정 성남지청장 등이 꼽힌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