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4일 공개한 '금융안정 상황(2022년 3월)'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부채를 보유한 자영업가구 중 적자가구는 약 78만 가구로, 전체 자영업가구의 16.7%로 집계됐다.
이들 적자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는 177조원으로, 전체 자영업가구 금융부채의 36.2%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대부분 코로나19로부터 타격을 입은 곳이 대부분이었다. 주로 도소매, 숙박음식 등 대면서비스업종의 적자가구가 늘어났다.
특히, 적자가구(78만 가구) 중 유동성 위험가구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27만가구로 추정됐다. 유동성 위험가구는 적자감내기간이 1년 미만인 가구다. 이들 가구의 금융부채 규모는 72조원에 달한다. 이는 2020년 3월과 비교해 13조원이나 늘어난 수준으로, 자영업 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의 14.6%에 달한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매출 회복세가 더딘 숙박음식업·교육업에선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가 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를 9월까지 일괄 연장키로 했지만, 올해 경기상황 변화에 따라 유동성 위험가구의 금융부채가 지난해 말 대비 1조∼10조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적자가구의 금융부채는 낙관적 경기회복을 가정할 때 올해 1조원 줄어들 수 있지만, 경기 부진 시에는 18조원 증가할 수 있다고 한은은 예상했다.
이상형 한은 부총재보는 "정부의 금융지원은 대출금리가 오르는 가운데 자영업자들의 상환 부담을 줄여 단기적으로 자영업자 부실 위험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며 "다만 금융지원이 장기화되면 잠재부실이 이연, 누적되는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자영업자들의 업황과 차입 정도를 보면서 관련 금융기관의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해, 만기연장 유예조치 종료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