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선의 향배를 가른 핵심 쟁점은 부동산이었다. 지난 5년간 아파트값 폭등, 주택 임대차 3법 시행에 따른 전·월세 시장 불안, 겹겹이 쌓인 재건축·재개발 규제와 공급 가뭄 등으로 부동산 생태계는 무너졌다. 20·30세대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과 ‘패닉바잉(공황매수)’으로 부동산 시장에 뛰어들었다. 뒤틀린 시장의 불안감이 드리운 그림자다. 윤 당선인이 ‘부동산 시장의 정상화’를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운 이유다.
경제2분과는 부동산 인수위원 한 명 없이 국토부와 서울시 출신 전문위원과 실무위원으로 출범했다. 이 중 국토부는 한 명, 서울시는 두 명이었다.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5년간 부동산 정책을 이끌어갈 부처의 위상이 초라해졌다. “서울시에 보고하는 것 아니냐”는 자조 섞인 이야기가 국토부에서 나돌았다. 실제 인수위 보고 때 국토부 실·국장이 총출동했다. 경기도에서 인수위 파견이 없는 것도 의외였다.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등 수도권 주택난을 해결할 3기 신도시 대부분이 경기도에 있다. 업계에서는 공공택지를 조성하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이 파견되지 않은 것을 두고도 말이 많았다. 인수위는 부랴부랴 ‘부동산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돌이켜보면 국토부는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 때 늘 뒷전(?)이었다. 장관 임명만 봐도 확연히 드러난다. 박근혜 정부 때 서승환·유일호·강호일 장관은 학계와 기획재정부 등 외부 출신이었다. 문재인 정부 때는 김현미·변창흠·노형욱 장관이 부동산 정책을 주도했다. 국토부와 인연이 적은 인사들이다.
부동산 정책 수립도 청와대와 기재부에 밀렸다. 국토부는 짜인 정책을 실행하는 부처로 전락했다. 매번 급한 불을 끄기에 급급한 상황이었다. 새 정부에서도 이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최근 서울 강남을 비롯한 주요 재건축 단지의 가격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지난해 말 주춤했던 아파트 가격이 다시 고개를 들 기세다. 일각에서는 국토부 장관 하마평이 돌고 있다. 시장의 불안과 우려를 잠재울 부동산 전문가 임명이 필요하다. 부처를 잘 이끌고, 업계와 소통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 10년간 장관을 배출하지 못한 국토부의 위상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