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은 5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를 발간했다. 지난해 9~10월 전국 만 20~64세 경제활동인구 1만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소득수준별 소비·지출 행태와 보유 자산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들의 월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15만원 증가한 493만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486만원)보다도 7만원 늘었다.
그러나 이 같은 혜택은 고소득층에 집중됐다. 상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948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만원 늘었지만 하위 20%는 오히려 2만원 줄어든 181만원에 그쳤다. 이에 따라 2018~2020년 4.8배 수준이었던 두 계층 간 소득 격차도 지난해 5.23배로 급격히 확대됐다.
소득뿐만 아니라 부동산 격차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총자산 기준으로 하위 20%의 보유 부동산은 2018년 대비 30%(213만원) 줄어든 490만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상위 20%의 부동산 가치는 같은 기간 약 39.2%(8억8138만원→12억2767만원) 급증했다. 두 계층 간 부동산 격차는 125배에서 251배까지 커졌다.
부동산은 삶의 질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삶의 질이 ‘최상’이라고 답한 응답자의 보유 부동산은 평균 7억6119만원으로, ‘최하’ 응답자(2억8598만원)의 세 배에 육박했다.
각 가구가 보유한 총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79.9%까지 상승했다. 집값이 치솟으면서 가구 내 자산의 부동산 쏠림 현상도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탓에 2030세대는 주택 매입을 서두르고 있다. 지난해 주택 구입자 중 2030세대 비중은 41.1%로 가장 많았다. 이들이 주택을 매입하기 위해 받은 대출은 평균 1억6720만원이었다. 월평균 80만원씩 17.4년간 상환해야 하는 셈이다. 2030세대의 평균 집값은 지난해 5억651만원으로 전년(3억6446만원) 대비 39.0% 올랐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