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아티움에서 개막한 창작 뮤지컬 ‘아몬드’(사진)는 원작(손원평 작가의 동명 소설)을 살리는 길을 택했다. 작품성과 흥행성을 모두 갖춘 대작을 재료로 삼다 보니 이런 선택을 했다는 분석이다. 2017년 출간된 이 소설은 90만 부나 팔린 베스트셀러다. 제10회 창비 청소년문학상을 거머쥐었다. 이 덕분에 제작사 라이브가 여는 창작 뮤지컬 공모전 ‘글로컬 뮤지컬 라이브’의 눈에 들어 무대에 오르게 됐다.
아몬드는 뇌 속 편도체가 작아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알렉시티미아’(감정 표현 불능증)를 앓는 소년의 성장 과정을 다뤘다. 주인공 윤재가 주변 인물을 통해 사랑과 슬픔 등 감정을 학습하는 과정을 담았다.
책 속 윤재와 뮤지컬 속 윤재의 싱크로율이 높아 소설을 읽고 온 관객이라면 반가울 법하다. 원작의 서사뿐 아니라 대사, 지문 등도 그대로 옮겼다. 눈으로 읽은 바로 그 문장을 귀로 듣는 게 새롭다. 윤재가 감정을 배워 나가는 단계별로 다채로운 넘버가 삽입됐다. 줄거리와 결말을 이미 알고 있는데도 지루하지 않았다.
하지만 때때로 숨이 찼다. 세 시간에 이르는 러닝 타임 내내 원작의 명성에 누를 끼치지 않으려 노력하는 모습이 역력했기 때문이다. 마치 원작자와 ‘소설 속 장면을 그대로 재현해야 한다’, ‘소설에 나온 문장과 토씨 하나 달라선 안 된다’고 계약을 맺은 듯했다.
특히 갈등의 인과관계나 인물의 내면 묘사를 소설 속 문장을 읽는 것으로 대신한 건 무척 어색했다. 알렉시티미아 특성상 감정을 최대한 배제해야 하는 점을 감안해도 윤재의 내레이션은 지나치게 딱딱하다. 일부 부자연스러운 장면은 굳이 재현하지 않고 소설에만 남겨두는 게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윤재로 분한 문태유, 곤이를 맡은 이해준 두 남성 배우의 하모니는 인상적이었다. 감정이 없어 잔잔한 윤재의 바다가 ‘정(正)’이라면, 분노와 슬픔 따위의 감정이 과잉된 상태의 곤이가 일으키는 파도는 ‘반(反)’이다. 두 소년의 만남으로 무대를 지배하는 긴장 관계는 마침내 ‘합(合)’에 이른다. 소설보다 훨씬 극적이다. 두 배우의 연기와 목소리의 궁합이 나쁘지 않다. 무대장치의 소박함을 배우들의 연기가 채웠다. 감정을 배우면서 점차 달라지는 윤재의 표정과 목소리를 확인하는 것도 관람하는 재미 중 하나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