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6일 “물가를 포함한 민생안정 대책을 새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라”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지시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시장에서는 ‘5월 인상설’에 무게를 실었다. 금통위 의장인 총재가 공석인 데다 한은이 지난해 8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선제적으로 인상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 위원은 “한 달여 기간 대내외 여건에 큰 변화가 있었다”며 “총재가 공석임에도 불구하고 대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번 금리 인상 결정에 19일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둔 이창용 한은 총재 후보자와의 의견 교환은 없었다고 주 위원은 전했다.
성장률이 둔화되면 향후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도 부담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시장에서는 당초 올해 두세 차례 추가 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시각이 많았다. 일각에서는 4월에 이어 5월까지 두 달 연속 금리 인상을 예상하기도 했다. 이주열 전 한은 총재도 지난 2월 연말 기준금리가 연 1.75%에서 2.0%에 이를 것이란 시장 전망에 대해 “시장의 기대가 합리적인 경제 전망을 토대로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주 위원은 그러나 “금통위원의 의견이 그 전보다 조금 다양해진 것 같다”고 달라진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면서 “물가를 보면 좀 더 (기준금리를) 높여야 되지 않냐는 생각도 할 수 있는데 동시에 경기의 하방(성장률 하락) 위험도 커졌기 때문에 생각이 다양해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향후 기준금리 결정에 경기 둔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금통위 내에서 제기된 것으로 해석됐다. 이에 따라 한은이 추가로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금리 인상 속도는 시장 기대보다 늦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이날 3년 만기 국채 금리가 전날 대비 0.1%포인트 넘게 급락한 것도 이런 분위기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민지희 미래에셋대우증권 채권 애널리스트는 “금통위는 국내 경기 하강 리스크가 있다고 보고 있다”며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내 한 차례만 추가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본다”고 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기준금리를 너무 빨리 올리면 성장률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빅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이상 인상)을 예고한 미국처럼 속도를 내기도 어렵기 때문에 연말이나 내년 초께 미국 금리와 비슷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의 긴축 영향으로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달라지긴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김상훈 KB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성장률보다는 물가가 한은의 전망치를 크게 벗어나는 수준”이라며 “인상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관측했다. Fed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미 간 금리 역전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주 위원은 그러나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양호하기 때문에 대규모 자본 유출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