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급성장한 패션 플랫폼들이 최근 4050 여성 '큰손'을 겨냥한 새로운 플랫폼을 연달아 출범했다. 무신사는 40대 여성들을 겨냥한 '레이지나잇'을 오픈했고, 브랜디는 30대 여성을 공략하기 위한 '플레어'를 내놨다. 높은 구매력을 갖췄지만 온라인 전환이 상대적으로 더뎠던 4050 여성 패션을 둘러싼 새로운 '플랫폼 전쟁'이 펼쳐지고 있다.
1020 여성이 주 고객층인 브랜디도 지난 1일 30대 여성을 위한 패션 쇼핑앱 플레어를 출시했다. 기존 육아 플랫폼 마미를 패션 플랫폼으로 리브랜딩했다. 마미의 주요 고객인 30대 여성 사이에서 육아는 물론 패션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을 확인하고 새롭게 선보인 플랫폼이다.
20대 여성 중심 쇼핑 앱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카카오스타일도 4050 여성을 위한 플랫폼인 포스티를 지난해 출시한 뒤 올해 2월 하프클럽 등의 성장을 이끈 패션 이커머스 전문가 이화정 상무를 포스티 부문 리더로 영입했다. 카카오 커머스와 시너지를 내기 위한 전략을 모색 중이다.
30~50대 여성은 구매력이 높고 모바일 이용에도 능숙하지만 원단 등 상품 퀄리티에 대한 기준이 높은 데다가 체형 등을 고려해 입어보고 사는 것을 선호해 관련 패션 시장의 온라인 전환이 상대적으로 늦었다. 백화점이나 가두매장을 이용하는 비율도 1020세대보다 훨씬 높았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이들 세대에서도 모바일 쇼핑 수요가 크게 늘었다. 2020년 9월 출시된 4050 전문 패션 플랫폼 퀸잇은 지난해 평균 월 100억원 이상의 거래액을 기록했다.
유행에 민감하고 플랫폼 충성도가 낮은 편인 1020세대에 비해 4050세대는 한번 이용한 플랫폼을 계속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 패션 플랫폼들의 초기 이용자 선점 경쟁이 격화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인기 브랜드를 독점 계약하거나 숨어있는 디자이너 브랜드를 발굴하는 등 차별화된 전략이 있어야만 새롭게 펼쳐진 패션 플랫폼 2차 경쟁에서 승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