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노원(-0.02%)·성북(-0.02%)·마포구(-0.01%) 등 강북 대다수 지역은 매물이 쌓이며 하락세를 보였다. 광진·중랑·송파구 등은 전주 보합에서 각각 0.01% 떨어지며 하락 전환했다.
현재 부동산 시장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기조에 따른 기대와 금리 인상·대출 규제 우려가 혼재하면서 매수세와 매도세 간 힘겨루기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입지 여건이 양호하고 개발 호재가 있는 일부 고가 지역은 상승세를 이어갔다”며 “전반적으로는 추가 금리 인상 우려와 전셋값 안정, 매수심리 위축으로 약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양도세 중과 유예로 다주택자 매물이 쌓이기 시작한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은 하락세가 뚜렷해졌다. 인천은 전주와 동일하게 0.05% 떨어졌고 경기는 전주 -0.02%에서 -0.03%로 하락폭이 커졌다. 고양 일산서구(0.10%)와 일산동구(0.06%) 등 재건축 호재가 있는 1기 신도시 일부는 상승했고 시흥(-0.18%) 화성(-0.15%) 의왕(-0.11%) 등 대다수 지역은 매물 적체로 인한 내림세가 가팔라졌다.
올초 연 3~4% 수준이던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4~6% 수준까지 오른 상태다.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를 연 2.5%까지 올릴 경우 대출 금리는 최고 연 6~7%대로 뛸 전망이다. 은행에서 1억원을 연 4%로 빌릴 경우 이자 부담이 월 33만원이지만 연 7%가 되면 이자비용이 월 58만원까지 치솟는다.
오는 7월부터는 DSR 규제도 강화되는 만큼 거래량이 쪼그라들 것으로 보인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 실장은 “DSR 규제가 7월부터 총대출액 1억원 초과까지 확대될 예정이고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대출이자까지 높아지고 있다”며 “단기 주택 거래량이 빠른 시간에 회복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리 인상의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의견도 적지 않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금리 인상과 DSR 규제는 저소득 실수요자들의 매수세를 제한하겠지만 실제 거래량과 집값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4.5%로 대폭 상향한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했다. 인플레이션 국면에선 부동산 등 실물자산 가치가 오를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도 “지금도 강남 서초 등은 금융 규제, 금리 인상 등과 무관하게 움직이고 있다”며 “금리 인상 여파는 서울 외곽 지역에 9억~10억원대 아파트를 사려는 실수요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