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전북 군산시 A농기계업체 공장. 한때 연매출 500억원의 중소기업 파워이앤지를 운영한 장영문 전 사장이 1t급 오버헤드 크레인을 조작해 부품을 옮겼다. 그는 이 공장에서 191만원의 월급을 받으며 일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최저임금이다.
파워이앤지는 해외 생산시설을 한국으로 옮긴 ‘유턴기업’ 1호였다. 2002년부터 중국 산둥성 옌타이에서 굴착기에 들어가는 얇은 철판을 생산했다. 장 전 사장은 유턴기업지원법(해외진출기업복귀법)이 제정되는 등 국내 복귀 지원책이 늘 것이란 소식에 2012년 5월 한국행을 결정했다. 전라북도와 ‘유턴기업 지원 양해각서(MOU)’를 맺고 군산 임피농공단지에 65억원을 투자해 입주했다. 그러나 약속받은 정부의 공장 부지 및 설비 자금 지원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서 자금 흐름이 꼬였고 장 전 사장은 개인 빚 40억원을 떠안았다. 회사는 2019년 5월 폐업했다. 2020년 6월부터 농기계업체 현장 직원으로 일하고 있는 그는 “유턴기업 1호라고 홍보를 많이 하더니 그때뿐이었다”고 한숨을 쉬었다.
2013년 유턴기업지원법 제정 이후 10년간 추진한 정부의 해외 진출기업 유턴 정책이 ‘처참한’ 성적표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늑장 대처와 탁상행정 탓에 유턴업체 상당수가 사업을 접었다. 장 전 사장처럼 최저임금 근로자나 날품팔이 신세가 된 전직 대표도 적지 않다.
민덕현 전 거성콤프레샤 사장이 대표적이다. 신용불량자인 그는 통장을 개설하지 못해 일당 12만~15만원을 받고 배관공사를 하고 있다. 전남 함평의 공장 및 상가 건설 현장에서 일하고 있다. 작년과 올해 초에는 일거리를 찾아 경기 김포, 충남 천안, 충북 청주의 공사 현장을 돌았다.
민 전 사장은 중국 칭다오에서 공기압축기 제조 공장을 운영했다. 한때 직원 80명에 매출이 80억원에 달했다. 2015년 6월 한국행을 결정해 세종시, 고용노동부 등과 유턴기업 업무협약을 맺었다. 세종시 세종첨단산업단지에 70억원을 투자해 대지 6600㎡에 연면적 2966㎡짜리 공장 두 동을 세웠지만, 약속받았던 인력 고용 보조금 지원은 말뿐이었다. 자금난이 심해지면서 공장은 작년 10월 41억원에 경매로 넘어갔다. 그는 “대한민국에 사기당했다”며 “몇 푼 지원해준다는 말에 속아 귀국한 내가 바보”라며 울먹였다.
김진원/민경진 기자 jin1@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