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상승이 바꾼 기업금융의 대세’ 사모채·CP·대출

입력 2022-06-15 16:50   수정 2022-06-16 15:40

이 기사는 06월 15일 16:50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국내외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으로 회사채 시장이 주춤하면서 기업들의 자금 조달 트렌드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 회사채 대신 기업어음(CP)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기업들이 부쩍 늘었다. 공모채 대신 사모채를 통해 ‘급한 불’을 끄는 사례도 잇따랐다.

신용보증기금이 지원하는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을 찾는 대기업도 등장하는 추세다. 금리 상승이 본격화되면서 기업들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유동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는 게 투자은행(IB) 업계의 분석이다.
회사채 막히자 CP로 몰린 기업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국내 최상위 신용등급(A1) CP 발행 잔액은 약 89조2685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초에 비해 70조원 수준인 것과 비교해 19조가량 불어났다. 지난 4월 이후 LG생활건강, SK E&S, 롯데케미칼, LIG넥스원 등이 만기 6개월 이상 CP를 발행했다.

CP는 기업이 단기적으로 자금을 충당하기 위한 수단이다. 시장 금리가 요동치면서 CP 발행을 선택하는 우량 기업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회사채 흥행 실패로 신용도가 깎이는 것을 우려한 기업들이 CP 등 단기 자금 조달 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회사채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행이 수월한 것도 CP의 장점이다. CP는 1년 미만 만기로 발행하면 증권신고서 작성 등 까다로운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장기 CP는 증권신고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하지만 1년 이상 보호예수하거나 투자자가 50인 미만일 경우 면제할 수 있다.

CP 확대에 따른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안영복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장은 지난 7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장기 CP를 발행하는 기업이 늘어나면 국내 채권 시장의 위축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규제 차익을 누리는 상품의 확대가 금리 상승기에 저변이 얇은 채권시장을 약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공모채 대신 사모채 통한 우회 조달
회사채 시장에서는 공모채 대신 사모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A급 이하 신용도를 갖춘 기업이 사모채 발행으로 선회하는 추세다. A급 이하 공모채에 대한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면서 다소 높은 이자를 내더라도 신속한 조달에 초점을 맞춘 움직임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LX하우시스는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지난달 30일 사모채 총 12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신용평가사들은 LX하우시스의 신용등급을 ‘A+’ 수준으로 매겼다. 한국조선해양의 자회사인 현대삼호중공업도 지난달 700억원 규모의 사모채를 발행했다. 현대삼호중공업의 신용등급은 ‘A-’ 수준이다.

사모채는 CP 발행과 마찬가지로 수요예측 등을 진행하지 않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사모채는 공모채와 달리 특정 개인이나 연기금·자산운용사·보험사 등을 대상으로 발행하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도 없다. 대신 조달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책정된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한다.

사모채로 분류되는 자산담보부증권(P-CBO)을 발행하는 기업도 많다. P-CBO는 주로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를 모아 신용보증기금 보증으로 신용을 보강한 뒤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하는 제도다. 자체 신용으로는 회사채 발행이 어려운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금리 인상이 본격화되면서 A급 신용도를 갖춘 대기업까지 신용보증기금의 문을 두드리고 있는 게 특징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SK렌터카는 지난달 P-CBO를 통해 500억원을 조달했다. 나이스신용평가 기준 이 회사의 신용등급은 ‘A(긍정적)’다. SK머티리얼즈도 지난달 550억원 규모의 P-CBO를 발행했다. 국내 택배시장 ‘빅3’로 꼽히는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지난달 P-CBO를 통해 560억원을 조달했다. 이 회사 신용등급은 ‘A(안정적)’다. 대기업들은 평판 훼손을 우려해 P-CBO 발행을 꺼려왔지만, 금리가 빠르게 오르면서 비교적 유리한 금리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에 주목했다.

회사채가 만기 2~3년의 단기물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는 것도 눈길을 끈다. 기관투자가들이 5년 이상의 중·장기물을 외면하고 단기물만 선호하는 현상이 짙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금리 상승으로 기관 수요가 전반적으로 단기물에 몰리고 있다”며 “초우량 기업이 아니면 7년 만기 이상의 장기 회사채 발행은 엄두를 못 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유동성 확보 위해 은행 찾는 기업들
기업들의 자금 조달 트렌드 변화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더욱 높아지는 상황에서 대표적인 자금 조달 창구인 회사채 시장의 조달 환경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신용등급 AA-급 우량기업의 3년 만기 회사채 평균 금리는 지난 13일 연 4.222%에 달했다.

공모 회사채 공급 축소에도 불구하고 국고채와의 금리 격차(신용스프레드)는 더욱 벌어져 회사채 투자 심리의 위축을 반영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3일 3년 만기 AA-등급 스프레드는 71bp(1bp=0.01%포인트)에 달한다. 2년 전 코로나 확대로 회사채 발행이 급작스럽게 위축됐던 시기와 비슷하다. 신용스프레드 확대는 기업에 시장금리(국고채 금리) 변동폭보다 더 많은 이자지급을 요구한다는 뜻이다. 경기 상황 악화로 원금과 이자를 갚지 못하는 기업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할 때도 있다.

회사채 시장 경색으로 자금 조달이 급한 기업들은 은행 대출로 몰리고 있다.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668조629억원으로 작년 12월 말(635조8879억원)보다 32조1750억원(5.1%) 증가했다. 회사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지 못한 기업들이 은행 돈을 빌려 만기를 맞은 회사채 원리금을 상환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