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만 전해지던 조선시대 시집 <한도십영>···국역본 발간

입력 2022-06-15 20:53   수정 2022-06-15 20:54

"(시를 읽으면) 도읍의 뛰어난 산천, 크고 화려한 궁전, 엄숙한 건물, 순박한 풍속이 모두 보인다." 세종때 문과에 급제해 공조 판서를 역임한 김수온이 <한도십영(漢都十詠)> 서문에 적은 말이다. 이 책은 조선 초기 한양의 10가지 경치를 두고 서거정 등이 지은 시를 엮은 책이다. <속동문선>, <동국여지승람국여지승람> 등에 책 이름만 등장할 뿐 실존 여부가 불투명했는데 국립한국문학관이 출범을 앞두고 자료를 수집하던 과정에서 세상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15일 국립한국문학관은 조선 전기 한시집 <한도십영>을 한국문학 자료총서 제1집으로 발행했다고 밝혔다. 원본의 사진을 과거 책 모양대로 묶은 '영인본'과 한글 풀이(국역)와 설명(해제)을 담은 책 총 두 권으로 구성됐다. 장유승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가 국역과 해제를 붙였다.

국립한국문학관이 발간한 첫 책이다. 2025년 개관 예정인 국립한국문학관은 2019년 4월 법인을 설립한 후 한국문학 자원을 수집하는 중이다. 개인이 소장하고 있던 <한도십영>도 수집 공고를 통해 발견됐다.

현재까지 존재가 확인된 <한도십영>은 국립한국문학관이 수집한 책이 유일하다. 염무웅 국립한국문학관장은 "국립한국문학관 소장본이 유일본이라는 건 우리의 자랑이자 슬픔"이라며 "귀중한 문화유산을 그동안 얼마나 소홀하게 대해 왔는지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기록에는 나무활자로 찍은 '목판'으로 전해지지만, 국립한국문학관이 수집한 건 금속활자인 '초주갑인자'로 인쇄된 책이다. 국립한국문학관 관계자는 "금속활자 중에서도 초주갑인자로 인쇄돼 서지학적으로 의미 있는 자료"라며 "김수온의 서문에 따르면 이 책은 1479년(성종 10년)에 간행된 것으로 추측된다"고 설명했다.

갑인자는 세종때 만들어진 금속활자로, 글씨에 뛰어났던 아들 수양대군(세조)와 장영실 등 최고 인재가 제작에 참여했다. 글씨가 아름다운 것으로 유명하다. 1777년까지 여섯 번이나 주조됐다. 제일 먼저 만들어진 갑인자, 원조가 '초주갑인자'다. 1455년 제작된 구텐베르크 활자보다 앞서 만들어졌다는 역사적 의의도 있다. 지난해 6월 인사동에서 무더기로 출토돼 학계가 뒤집어졌던 바로 그 활자다.


<한도십영>은 한양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시집이다. 책은 조선시대 문인들이 시 짓는 솜씨를 치열하게 경합한 자리이기도 하다. 서거정, 강희맹, 이숙함, 최숙정, 성현, 이승소, 성임, 이봉, 이정(월산대군) 9인은 각 10편씩 시를 썼는데, 주제가 동일하다. 한양에서 경치 아름다운 10가지 장소. ‘장의사로 승려를 찾아가다(?義尋僧)’, ‘제천정에서 달을 구경하다(濟川翫月)’, ‘반송정에서 나그네를 전송하다(盤松送客)’, ‘양화나루에서 눈을 밟다(楊花踏雪)’, ‘목멱산에서 꽃을 감상하다(木覓賞花)’, ‘살곶이에서 봄놀이하다(箭郊尋芳)’, ‘마포에 배를 띄우다(麻浦泛舟)’, ‘흥덕사에서 연꽃을 감상하다(興德賞蓮)’, ‘종가에서 관등놀이를 구경하다(鍾街觀燈)’, ‘입석포에서 낚시하다(立石釣魚)’ 등이다.

9명이 같은 장소를 두고 각기 다른 시를 지어 비교하며 읽는 맛이 있다. 예컨대 최숙정은 흥덕사 연꽃을 보고 "수선의 집은 물 밑 용궁에 있는데(水仙家在琳宮底)/신선이 파도 넘어 날마다 머리 빗고 세수하네(仙子凌波日梳洗)"로 시작하는 시를 지었다. 같은 풍경을 보고 서거정은 "사찰의 단청은 물 아래까지 비치는데(招提金碧照水底)/갓 피어난 연꽃은 씻은 듯 깨끗하네(荷花初開淨如洗)" 하고 노래했다.

<한도십영>은 어떤 이유로 탄생했을까. 국가가 주도해 만든 활자로 찍힌 만큼 '관제 작품'인 걸까. 이 부분은 명확치 않다. 장유승 연구교수는 "<한도십영>의 간행을 주도한 것은 국가가 아니라 개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장 교수는 "조선전기 활자본 중에는 소설 등 국가가 간행을 주도하였으리라고 생각하기 어려운 문헌이 존재한다"며 "오탈자가 많다는 사실도 국가의 엄격한 감독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했다. 또 "조선후기에는 국가 소유의 활자를 개인이 임대해 서적 간행에 사용하는 일이 관행적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국립한국문학관은 한국문학 자료총서 2집을 올해 안에 발간할 예정이다. 역시 국내 유일본인 김려의 <담정총서>를 박혜숙 인하대 교수가 국역 중이다. 이를 토대로 오는 10월 학술대회도 연다는 계획이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