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문재인 정부에서도 금융감독원장 자리를 놓고 ‘비전문가 논란’이 일었던 적이 있다. 초대 금감원장 인사 때부터다. 문 정부의 첫 금감원장으로 내정된 이는 대선 과정에서 문재인 후보의 경상남도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았던 김조원 전 감사원 사무총장이었다. 그는 참여정부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이 민정수석비서관으로 근무할 당시, 공직기강비서관으로 일했고, 문 대통령이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였던 2015년에는 당무감사원장으로 활동한 인연이 있다. 후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을 거쳐 조국에 이어 문 정부 청와대의 두 번째 민정수석에 올랐던 인물이다. 친문계로 분류된 인물이었던 만큼 그의 금감원장 입성은 기정사실화됐다. 그런데 하룻밤 새 인사가 뒤집어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최 원장에 이어 12대 금감원장에 오른 참여연대 출신 김기식 원장도 비전문가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금융권 관련 경력이라고는 4년간의 국회 정무위원회 활동이 전부였던 만큼 등 야당을 중심으로 금융정책과 감독 전반에 대한 전문성이 없다는 반대의 목소리 일었다. 그의 강성 이미지 탓에 업계에서는 ‘호랑이를 피하려다 라이거가 왔다’는 말이 나돌 정도로 물밑 반발도 거셌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선임이 강행됐지만, 그는 취임하자마자 불법 후원금 등 여러 가지 논란에 휩싸였다. 당시 정부에 상당히 우호적이던 정의당조차 사퇴를 요구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후원금 논란에 대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위법’ 판단을 내렸고, 그는 사퇴했다. 그의 재직기간은 불과 보름 정도에 불과해 역대 최단임 금감원장으로 기록됐다.
이런 가운데 문재인 정부에서 금감원장을 지낸 김기식 전 원장이 이 신임 원장에 대해 애정 어린 지지를 보내 눈길을 끈다. 김 전 원장은 최근 페이스북 글에서 “금감원장의 요건에 정책적 전문성이 필수적이지 않다”며 “물론 정책적 이해는 필요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감독규정을 제대로 집행할 수 있는 법률적 지식과 역량, 의지”라고 했다. 이어 “이런 점에서 개인에 대한 호불호를 떠나 공인회계사 자격이 있고, 관련 경제 범죄 수사를 통해 법률적 지식과 역량을 갖춘 신임 이복현 원장은 금감원장으로서 요건을 갖추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며 “오히려 검사 출신 금감원장이라는 기존 관행을 깨는 파격을 통해 소비자 보호를 중심에 둔 감독행정의 변화를 꾀할 수도 있다고 본다”고 했다. ‘비전문가’란 오명을 들은 것에 대한 동병상련의 마음일까, 자신의 비전문성을 발휘해 보지 못한 안타까움의 발로일까. 정치색이나 당파를 뛰어넘는 보기 드문 공감의 모습을 어떻게 봐야 할지 난감하다.
유병연 논설위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