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경색된 한·일 관계의 정상화를 위해 경제계가 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양국의 퇴행적 정치가 악화시킨 선린 관계를 ‘국제 현실과 미래 발전’ 관점에서 경제·산업계가 앞장서 풀어야 할 상황이다. “한국 기업의 민첩함과 일본 기업의 신중함이 합치면 세계 최강의 조합”이라는 허창수 전경련 회장 인사말이 손님맞이 덕담 이상으로 들리는 이유다. “일본 경제계는 한·일 정상 및 각료 간 대화의 조기 재개를 희망한다”는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의 전언도 그래서 관심을 끈다.
지난주 열린 한·미·일 정상회의도 한·일 관계 정상화를 위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 북핵 등 안보 문제가 주로 논의됐지만, 국제 정세에서 안보와 경제는 하나가 된 지 오래다. “국제 정세가 불안정해지는 가운데 민주주의·시장경제라는 가치관을 공유하는 한·일의 양호한 관계를 유지·발전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양국 발전뿐 아니라 동북아의 평화·안정에도 기여한다”는 이번 공동성명의 내용에 전적으로 동의하게 된다.
경제인들이 미래 발전 아젠다를 설정하고 우호적 분위기도 조성하겠지만, 결국 양국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을 조기에 정상화해야 하고, ‘허가 절차’ 등 껍데기만 남은 채 슬그머니 실효가 없어진 일본의 소재·부품·장비 부문에 대한 수출규제 등도 다 털어낼 필요가 있다. 지난달 2년3개월 만에 재개된 김포~하네다 하늘 길처럼 양국의 ‘셔틀외교’가 조기에 정상화되길 기대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