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인력난이 가중되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과도한 임금 인상이 중소기업의 인력난과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져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6일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이 고용노동부 원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근로자 500명 이상 대기업 대비 500명 미만 중소기업 평균 임금 비중은 지난해 60.5%를 기록했다. 중소기업 평균 임금은 월 351만9000원으로 대기업(581만5000원)보다 229만6000원 낮았다. 지난해 중소기업 임금 비중은 코로나19사태 타격이 컸던 전년(58.8%)보다는 다소 개선됐지만 2018년(60.9%)에 비해선 악화됐다. 이 비중은 2015년 사상 최저 수준인 53.1을 기록한 이후 점차 개선되다가 2018년부터 꺾인 뒤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다.
노 연구위원은 “대기업들이 올해 반도체 소프트웨어 등 첨단산업 중심으로 급격하게 임금을 올려 올해 격차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심각한 수준이다. 그는 “미국 프랑스 일본 등 주요국의 경우 이 비중이 70~90%대를 기록하고 있다”며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심한 나라에 속한다”고 말했다.
양옥석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은 “인력난은 매출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생산성·R&D 투자 여력도 감소시켜 중소기업의 저임금 구조를 고착화시킨다”며 “대기업 역시 과도한 비용 상승이 중소기업 납품단가 압박으로 이어지고 이는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최근 한덕수 국무총리와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우려한 대로 ‘임금발(發) 인플레이션’을 유발해 경제에 악재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임금 격차가 심화된 원인은 과거 친노동 정책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 중소기업 단체장은 “이전 정부가 대기업 근로자 위주로 구성된 양대 노총에 우호적인 정책을 펼치다 보니 1744만 명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