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치사에서 세대교체론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70년이다. 당시 신민당이 돌풍의 진원지였다. 주역은 ‘40대 기수’를 주창한 김영삼·김대중·이철승 의원이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43세, 김대중 전 대통령이 46세, 이철승 전 의원은 48세 되던 해였다.
신민당은 어려움에 처해 있었다. 1969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집권 연장을 위한 3선 개헌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다. 신민당은 격렬하게 저항했으나 무위로 돌아갔다. 자연히 당은 무력감에 휩싸일 수 밖에 없었다. 40대 기수론이 힘을 받은 배경이다. 김영삼 당시 원내총무의 대선 후보 지명전 출마 선언은 결연했다. “박정희 씨의 3선 개헌으로 빈사 상태에서 헤매는 민주주의를 기사회생시키는 데 새로운 결의와 각오로 앞장서겠다.” 그 스스로 ‘고뇌에 찬 결단’이라고 표현했다.
김대중 의원도 가만 있지 않았다. 김영삼 원내총무의 출마 선언에 대해 “누구도 상상하지 못한 정치적 선수(先手)치기였다”라고 평가하고 대선전에 뛰어들었다. 이에 유진산 신민당 총재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구상유취(口尙乳臭)’, 입에서 젖비린내가 나는 정치적 미성년자들이 무슨 대통령이냐.”
그러나 낡은 진산 체제는 거센 새로운 물결을 막아내는데 역부족이었다. 이철승 의원도 ‘40대 기수론’에 동승하면서 신민당 대선 후보 경선은 박력있게 돌아갔고, 당 대선 후보는 김대중 의원이 차지했다.
이후 한국정치사는 이 때만큼 세대교체론, 40대 기수론이 힘을 발휘한 적은 없었다. 2006년 열린우리당 김부겸·이종걸·김영춘 의원 등이 당권에 도전하면서 40대 기수론이 부활했다. 2010년 6·2 지방선거에서도 오세훈 서울시장, 송영길 인천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이광재 강원지사 등이 광역단체장 도전에 성공하면서 40대 기수론을 이어 갔으나 대선은 어림없었다. 이듬해 나경원?남경필?원희룡 한나라당 의원이 대표 경선에 나서면서 40대 기수론이 다시 회자되긴 했지만, 중진의 벽을 넘지 못하고 실패로 끝났다.
지난해 6월 국민의힘 전당대회 당 대표 경선에서 30대의 0선(選)의 이준석 대표가 18선의 중진들을 제치면서 파란을 일으켰다. 세대 교체의 시발점이라는 전망도 있었지만, 이 대표의 단독 드리블에 그쳤다.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와 최고위원 등을 뽑는 8월 28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세대교체론이 일고 있다. 1970낸대생들이 당의 주역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친이재명계에 대한 견제 성격도 띠고 있다. 강병원(51)·강훈식(49)·박용진(51)·박주민(49) 의원과 김해영(45) 전 의원 등이 주인공으로 떠오르고 있다.
강병원·강훈식·박용진 의원은 당 대표 출마를 선언했다. 문제는 이들이 어떤 시대 정신과 비전을 보여주느냐다. 97그룹으로 불리는 이들은 선배 86세대에 밀려 뚜렷한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고, 차별화도 보여주지 못했다. ‘이재명 대체재’가 되기에는 인지도나 세력, 비전 등 어느 측면에서 보나 밀린다. 86세대들을 떠받치는 하부 조직 정도로 여겨진 것도 사실이다.
스스로의 힘을 보여주기 보다는 세대교체라는 흐름을 타고 떼밀리듯 나선 것이다.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이 40대 기수론이라는 깃발을 스스로 든 것과는 차이가 있다. 두 전 대통령의 40대 기수론과 같이 시대정신을 오롯이 담고 있는지도 의문이다.
그나마 이재명 대세론에 밀리는 양상이다. 이들이 ‘꽃가마 태우기’식의 40대 기수론이 아닌 자력으로 정치권 주류로 클 수 있을지 여부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판가름 날 전망이다. 세대교체는 당위론 만으로는 안된다. 이를 떠받치는 실력과 비전을 보여줄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홍영식 논설위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