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홍대 앞의 한 매장. 오후 2시 반 땡볕 아래 사람들이 땀을 뻘뻘 흘리며 긴 줄을 서 있다. 매장의 브레이크 타임이 오후 2시부터 3시까지인데도 누구 하나 불평 없이 기다린다. 되레 휴대폰으로 사진을 찍으며 설레는 마음을 감추지 않는 이곳. 전국에 3개뿐인 ‘프라이탁(Freitag)’ 매장이다.
사람들이 프라이탁에 열광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한마디가 있다. ‘세상에 하나뿐인 값진 쓰레기.’ 버려지는 트럭 덮개를 재활용해 가방과 소품으로 재탄생시킨 프라이탁은 시대를 앞선 아이디어, 오프라인 매장에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전략으로 폐품을 명품으로 만든 ‘업사이클링’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자리 잡았다.
버려지는 물건에 새로운 가치와 세련된 디자인을 입히는 ‘업사이클링’은 이제 흔한 단어가 됐다. 프라이탁이 시작된 1993년엔 아니었다. 스위스 취리히에서 태어난 마르크스와 다니엘 프라이탁 형제는 자주 비가 내리는 날씨 탓에 자전거를 타고 다니다 가방과 책까지 모두 젖는 일이 많았다. 비오는 날 트럭 짐칸에 방수천이 덮인 것을 보고 재활용품 업자를 찾아가 방수천을 구해 자르고 꿰매 가방을 만들었다. “이 냄새 풀풀 나는 누더기 같은 가방을 누구 사냐”는 비판이 쏟아졌지만 곧 자전거족 사이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프라이탁은 5~7년간 쓰고 버려진 트럭 덮개나 천막만 몸통의 재료로 쓴다. 90여 개 모델을 만든다. 가방끈은 폐자동차 안전벨트를 사용한다. 가방의 모서리는 자전거 고무 튜브가 가죽을 대신한다. 모든 작업은 기계 없이 수작업으로 이뤄진다. 쓰다 남은 천막이 재료이기 때문에 3~5명의 직원이 전 세계를 1년 내내 여행하며 400t에 달하는 방수 천막을 수집한다. 수집한 재료는 방수포만 분리해 깨끗이 세척하고 자른 뒤 가방 모양을 잡는다. 꼼꼼한 박음질로 물이 새지 않도록 하고, 충격에 잘 버티도록 에어백을 채워 넣는다.
마니아 중엔 “길거리에서 똑같은 가방을 멘 사람을 마주하고 싶지 않아 이 브랜드를 좋아한다”는 사람이 많다. 최근 업사이클링 붐이 불면서 가치소비를 지향하는 2030의 취향도 절묘하게 맞물렸다.
‘원 앤드 온리 디자인’은 사람들을 오프라인 매장으로 몰려가게 했다. 디자인과 제품의 상태가 다 다르기 때문에 실물을 눈으로 보고 사야만 한다는 것. 원래 인터넷 예약제로만 방문할 수 있게 하다 최근 현장대기도 가능해져 홍대 앞과 한남동, 제주 지점까지 연일 사람들로 붐빈다. 매장 내 인원 제한이 있어 어느 지점 앞에나 긴 줄이 늘어선다.
프라이탁은 최근 미디엄 사이즈 메신저백을 취향대로 제작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플랫폼 ‘F-컷’도 론칭했다. 기존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벗어나 자신의 취향에 맞는 ‘프라이탁 메신저백 F712 드라그넷’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 트럭 방수포 단면 사진에서 가방 덮개 등 네 가지 옵션을 골라 디지털 커팅할 수 있다. 로고 옵션도 따로 고르면 제작 가방 이미지를 보여준다. 4~6주 후 집으로 받아볼 수 있는데 매주 20개에서 50개의 트럭 방수포 단면이 업데이트된다.
김보라/최지희 기자 destinybr@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