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안팎에선 대선과 지방선거까지 연이은 패배 이후 이 의원을 향한 책임론과 불출마 요구가 터져 나왔지만, 그는 이런 당내 반발에도 불구하고 당권 도전을 선택했다. 이 의원으로선 자신이 구상한 ‘차기 대선 로드맵’을 밟기 위해서는 지금 당권을 잡아야 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를 의식한 듯 그는 “당 대표를 권력으로 보면 욕망이고, 책임으로 여기면 헌신”이라며 “당의 어려움을 외면하지 않고 새로운 민주당, 이기는 민주당으로 만드는 것이 진정 책임지는 행동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 의원이 당 대표가 되면 친이재명계 위주의 ‘계파 공천’이 이뤄질 것이라는 당내 우려에 대해 그는 “선거마다 유령처럼 떠도는 ‘계파 공천’ ‘사천’ ‘공천 학살’이란 단어는 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당대회 출마 공약으로는 미래, 유능, 강함, 혁신, 통합 등 다섯 가지를 제시했다. 그는 “비록 대선에서 패했지만 공약점검기구를 구성해 (대선) 약속을 지키겠다”며 “비례민주주의 강화, 위성정당 금지, 국민소환제, 의원 특권 제한, 기초의원 광역화 등 정치교체를 위한 정치개혁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97그룹 외에도 원조 86그룹(1980년대 학번·1960년대생)인 3선의 김민석 의원과 이낙연계 5선의 설훈 의원 등도 당권 경쟁을 선언했다. 당내 젊은 피인 이동학 전 최고위원과 박지현 전 비상대책위원장도 출마하면서 당 대표 경선 후보는 9명으로 꾸려졌다.
정치권에선 이 의원의 당 대표 도전이 독배가 될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가장 큰 문제는 사법 리스크다. 이 의원과 관련해 사법당국이 수사 중인 사안은 성남시 대장동·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성남FC 후원금,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합숙소 선거사무소 사용 의혹 등이다. 이 의원은 관련 질문이 나오자 “굿하는 무당인지 수사하는 검찰인지 모르겠다”며 “먼지만큼이라도 흠결이 있었으면 이미 난리 났을 것”이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2년 뒤 총선도 관건이다. 당 대표로서 총선 승리를 견인한다면 대권 가도에 한층 탄력이 붙을 수 있다. 총선에서 진다면 전국 단위 선거 3연속 패배 책임을 떠안아야 한다. 이 경우 대권 재도전 시나리오에 빨간불이 켜질 수 있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