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칼럼] 프란치스코 교황은 왜 자꾸 사과할까

입력 2022-07-29 17:20   수정 2022-07-30 00:08

콘클라베에서 교황이 선출되면 그때까지 쓰던 본명 대신 새로운 교황의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 교황명은 역대 가톨릭 성인 이름 중에서 교황이 직접 고른다. 2013년 미주 대륙 출신 첫 교황으로 선출돼 주목받은 아르헨티나의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 추기경이 선택한 교황의 이름은 ‘프란치스코’. 콘클라베 도중 “가난한 사람을 잊지 마십시오”라는 클라우디오 우메스 추기경(브라질)의 말을 듣고 바로 프란치스코 성인(1182~1226)이 떠올랐다고 했다.

흔히 ‘아시시의 성프란치스코’로 불리는 프란치스코 성인은 이탈리아 중부 소도시 아시시에서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다. 남들처럼 부와 명예, 안락함을 좇았던 그가 어느날 신의 음성을 듣고 완전히 달라졌다. “주인과 종 가운데 누구를 택하겠느냐?” 종은 잠시 스쳐 지나가는 부귀영화요, 주인은 영원한 평화와 행복이다. 또 하늘의 음성이 들렸다. “네가 나의 뜻을 알려면 지금껏 육신으로 사랑하고 탐하던 것을 경멸하고 미워하라. 그러면 지금까지 네가 피했던 것들이 모두 달고 넘치는 기쁨이 될 것이다.”

신기하게도 그 뒤로는 몸이 썩어가는 한센병 환자를 봐도 악취를 느끼지 못했고, 손을 잡고 입을 맞춰도 아무렇지 않았다. 그들의 가련한 삶 속에 살아있는 가난한 예수 그리스도가 보였다. 평생 가난한 삶을 살기로 결심한 프란치스코는 돈도, 안락한 삶도 모두 버렸다. 빈 몸으로 거리에 나선 그는 “단순하고 가난하게 살자”고 외쳤다. “쓰러져가는 나의 집을 수리하라”는 신의 음성은 교회 건물을 고치라는 게 아니라 신앙과 삶을 바로 세우라는 명령이었다. 수도회를 세우고 평생 가난한 이들과 병자들을 돌봤던 그를 ‘빈자들의 성인’이라고 말하는 이유다.

이런 성인을 닮고자 하는 프란치스코 교황은 취임 직후 교황청 궁전을 개조해 노숙자 쉼터로 제공했다. 자신의 생일에는 노숙인을 초청해 함께 식사했고, 노숙인의 발에 입도 맞췄다. 교황은 끊임없이 자신을 낮추고 숙이면서 낮은 곳으로 향했다. 핍박당했던 여성과 아동, 빈민, 난민, 외국인 노동자 등 약자의 삶에 관심을 쏟았다.

동시에 그는 가톨릭의 묵은 병폐를 뜯어고치는 ‘개혁 교황'이다. 취임 때부터 “바티칸의 부정부패를 뿌리 뽑겠다”며 교황청의 금융자산과 부동산 등을 공개했다. 이혼한 신자 포용, 교회 내 성평등, 세계 곳곳에서 벌어져온 성직자 성범죄 등 해묵은 과제도 하나둘 해결하고 있다. 가톨릭이 신앙의 이름으로 저질렀던 과오에 대한 참회를 통한 ‘역사 화해’에 앞장서고 있는 것도 개혁 행보의 일환이다.

캐나다를 방문 중인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번주 내내 과거 가톨릭 기숙학교들의 원주민 아동학대에 대해 사죄했다. 가톨릭교회는 캐나다 정부가 19세기 초중반 원주민들을 백인사회에 동화시키기 위해 설립한 기숙학교를 위탁운영했는데, 이들 학교 기숙사터에서 지난해 5월부터 1200구 이상의 원주민 아동 유해가 발견됐다. 당시 이들 학교는 15만 명 이상의 원주민 아동을 부모와 강제로 분리했고, 아이들에게 신체적·정신적·성적 학대를 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황은 사과와 함께 “이 모든 일이 대체 왜 일어났는가. 어떻게 예수를 따르는 사람들의 공동체에서 이런 일이 일어났는가”라고 탄식하기도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과 행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사과의 주제와 내용, 대상도 다양하다. 프랑스 아일랜드 칠레 등 전 세계에서 불거진 사제들의 성추문·성폭력, 유럽의 남미 식민지배 시절 가톨릭교회가 원주민에게 저지른 범죄,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 때 가톨릭의 오순절 교회 박해, 일부 가톨릭 성직자 등이 가담한 1994년 르완다 대학살, 동방·서방 교회의 분열 등 수많은 사안에 대해 교황은 머리를 숙이고 용서를 구했다.

“(약자들만 이야기하고) 왜 땀 흘려 일해 세금을 내는 중산층 문제는 잘 언급하지 않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세계가 양극화되면서 중산층이 줄고 있어 많이 고려하지 못했다”고 솔직히 털어놓기도 했다. 2020년 새해 미사 땐 전날 밤 바티칸 성베드로광장에서 신자들과 인사할 때 자신의 손을 끌어당기는 한 여성의 손을 내리치고 화난 표정으로 돌아선 데 대해 이렇게 사과했다. “우리는 자주 인내심을 잃는다. 나도 그렇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과에는 한계가 없다. 하느님의 대리자인 교황의 결정엔 오류가 없다는 ‘교황 무류성(無謬性)’ 따위는 설 자리조차 없다. 잘못이라고 판단되면 사과하고 용서를 구하고 바로잡는다. 교황이 고개를 숙이고 낮출수록 사람들은 더 우러러보게 된다. 개혁의 동력도 여기서 나온다. 과거 잘못에 대해 국민에게 마땅히 사과하고 용서를 구해야 할 사람들에겐 가슴 뜨끔한 이야기일까.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