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가 집 10채를 사주셨어요" "아버지가 정부 고위직에 재직 중입니다." "한 근에 20만위안(약 3800만원)짜리 차를 마셨어요"
최근 한 젊은이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글이 중국 대륙을 떠들썩하게 만들었습니다. 1994년생, 고작 28세밖에 되지 않은 저우제는 자신의 웨이보에 "고위직 간부가 술잔을 10번 건냈다"며 "다음주에 간부가 나를 찾아뵙는다고 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그는 자신이 직장에서 특별한 대우를 받고 있다며 "추위타는 나를 위해 주임님이 직접 에어컨에 가림막을 설치해줬다"고 했습니다. 이밖에 오메가 시계와 루이비통 등 각종 명품을 보유하고 있다는 자랑과 시장, 은행 행장과의 만남 등 굵직한 인맥 자랑도 빠지지 않았습니다.
저우제의 '허세글'은 대부분 거짓으로 드러났습니다. 조사 결과 저우제의 아버지는 지방 화물물류과 하급 공무원이며 어머니는 운송회사에 다니다 은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거물급' 공산당원이자 임원으로 묘사했던 삼촌들은 모두 일찌감치 은퇴한 상태였습니다. 그가 만났다는 고위직 임원들은 모두 "아는 사이가 아니다"라고 일축했습니다. 장시성국유자본운영지주그룹은 이같이 저우제의 가족 명의 재산은 물론이고 친척 직업 등 전반적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러자 저우제는 "과장된 발언을 후회한다"고 털어놨습니다.
이처럼 중국에서 SNS를 통해 자신의 재력과 지위를 과시하는 행위가 대대적으로 단속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중국 당국이 정치 슬로건으로 강조하고 있는 '공동부유론'의 일환입니다. 공동부유론은 경제적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부의 재분배에 초점을 둔 정책으로, 지난해 8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를 강조했습니다. 따듯히 입고 배불리 먹는 '온포사회'와 문화 생활을 즐기는 '소강사회' 달성 이후 완벽한 평등을 누리는 대동사회(유토피아)로 가기 위한 일종의 사회주의 전략인 셈이죠.
정부 압박에 알리바바는 2025년까지 1000억위안(약 15조) 규모의 재원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스마트폰 제조사 샤오미, 최대 배달앱 메이퇀 등도 수조원 규모에 달하는 기부를 약속했습니다. 이밖에 중국판 틱톡(더우인)은 지난해 재력을 과시하는 게시물을 올린 이용자 4000여명의 계정을 폐쇄했습니다. 작년 5월 중국판 인스타그램 샤오홍슈도 "일반인을 넘어서는 소비력을 과시 하지 않기"라는 SNS 규정을 신설하고 이를 어길 경우 삭제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 당국은 인터넷과 게임 분야 외에도 사교육, 부동산 시장 등 다양한 영역에 칼끝을 겨누고 있습니다.
중국의 빅테크(대형 기술기업) 규제 강화 및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봉쇄 조치 등으로 올 상반기 중국 경제성장률은 2.5%로 둔화했습니다. 한국은 직접적으로 공동부유론의 영향을 받진 않지만, 중국 성장 둔화가 국내 경제 성장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를 기울일 필요는 있어보입니다. 중국 입장에선 올해 경제 성장 동력이 급격히 식어가고 있어 공동부유론 실행, 즉 '파이 나누기'가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중국 당국이 공동부유론 '속도 조절'에 나설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