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적인 것은 버핏의 이 같은 판단이 인플레이션 헤지를 위한 투자라는 사실이다. 고물가 시대를 맞이하며 물가 급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실질 소득의 감소분을 배당금을 통해 상쇄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은 원자재 공급 부족,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상당 기간 계속될 수 있다. 과거 비슷한 시기 이런 배당 아이디어를 활용한 투자 전략의 성과는 어땠을까. 1970년대 고물가 시대를 살펴보면, 물가가 하락세에 접어든 1972년~1984년 S&P500지수의 실질 수익률은 -37.8%를 기록했다. 반면 배당을 고려한 실질 총수익률은 물가상승에 따른 수익 감소를 극복하고도 10.3%를 달성했다.
현재 미국의 대표 셰일가스 기업들로 구성된 대표지수 가운데 하나인 ‘Alerian MLP 인덱스’의 배당수익률은 2022년 8.3%, 2023년 8.9%로 예상된다. 배당의 중요성은 주식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미국 S&P500지수에서 산출하는 ‘S&P500 배당귀족지수’는 1991년 5월 이후 2022년 7월까지 연평균 수익률이 8.3%인 반면 배당을 고려한 총수익률은 11.2%로 평균 2.9%포인트 더 높았다. 동 기간 누적 수익률은 각각 1223.8%, 2962.7%에 달한다. 불과 2.9%포인트의 차이가 1738.9%의 누적 수익률 차이로 귀결된 셈이다. 버핏이 주목한 부분은 이렇듯 배당의 누적 성과에 있다.
최근 유가, 미국 주택 가격 등 하락세를 보면 그간 주가 하락의 방아쇠 역할을 했던 가파른 인플레이션이 둔화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주가가 재조정될 수 있어 주식 등 위험자산 투자는 분할 매수의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
배당주 중심의 투자는 인플레이션의 훌륭한 헤지 수단으로서 전체 포트폴리오 수익률을 방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배당 관련 펀드 또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적극 활용하기를 추천한다.
배성진 KB증권 WM투자전략부 수석연구위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