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금융지주 계열 캐피털 회사들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금리 상승 여파로 증권사와 보험사 등 비(非)은행 계열사들이 실적 부진에 빠진 것과 대비된다. 자동차금융 등 전통적인 소매금융에서 벗어나 기업금융 부문을 확대한 게 실적 호조로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그룹 자회사인 신한캐피탈은 올해 상반기 2036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1%나 증가한 것으로 4대 금융지주 캐피털사 중 최대 순이익을 냈다.
KB·하나·우리금융캐피탈도 모두 순이익이 늘었다. KB캐피탈은 상반기 순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38.2% 늘어난 1502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우리금융캐피탈은 50.6% 증가한 1250억원, 하나캐피탈도 30.0% 늘어난 1631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4대 금융지주 캐피털사의 실적 고공행진은 사업 포트폴리오에서 소매금융 대신 기업금융 비중을 늘린 덕분이다. 기업금융 전문인 신한캐피탈을 제외하더라도 KB캐피탈은 기업금융 비중을 19.5%로 작년 상반기 대비 6.44%포인트 늘렸다. 하나캐피탈도 35.2%로 전년 동기(30.3%)보다 4.9%포인트 높아지는 등 기업금융을 확장하고 있다. 우리금융캐피탈의 기업금융 비중은 작년 상반기(25.8%)보다 2.4% 늘어난 28.2%를 기록했다. 4대 지주사 모두 은행 카드 등 경쟁이 치열해진 사업 분야를 줄이고 수익성이 있는 새로운 먹거리를 찾는 과정에서 기업금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증권사와 은행 캐피털사 등 계열사가 연계해 진행하는 글로벌투자금융(GIB) 분야에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는 것도 사업을 강화한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캐피털업계 관계자는 “과거 금융지주가 수익을 내던 예대금리차(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차이) 중심의 사업 대신 ‘투자은행’ 역할이 중요해지는 추세”라며 “우량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지주사 캐피털에서 발행해 수익을 올리는 등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기업금융 비중이 높은 캐피털사의 건전성 관리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경기가 나빠지면 기업의 순이익이 감소할 가능성이 커 연체율을 방어할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부동산 경기 영향을 크게 받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대표적이다. 캐피털사들은 기업금융의 부실 위험에 대비해 플랫폼 금융 등으로 사업을 분산할 계획이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
기업금융이 새 먹거리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그룹 자회사인 신한캐피탈은 올해 상반기 2036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1%나 증가한 것으로 4대 금융지주 캐피털사 중 최대 순이익을 냈다.
KB·하나·우리금융캐피탈도 모두 순이익이 늘었다. KB캐피탈은 상반기 순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38.2% 늘어난 1502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우리금융캐피탈은 50.6% 증가한 1250억원, 하나캐피탈도 30.0% 늘어난 1631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4대 금융지주 캐피털사의 실적 고공행진은 사업 포트폴리오에서 소매금융 대신 기업금융 비중을 늘린 덕분이다. 기업금융 전문인 신한캐피탈을 제외하더라도 KB캐피탈은 기업금융 비중을 19.5%로 작년 상반기 대비 6.44%포인트 늘렸다. 하나캐피탈도 35.2%로 전년 동기(30.3%)보다 4.9%포인트 높아지는 등 기업금융을 확장하고 있다. 우리금융캐피탈의 기업금융 비중은 작년 상반기(25.8%)보다 2.4% 늘어난 28.2%를 기록했다. 4대 지주사 모두 은행 카드 등 경쟁이 치열해진 사업 분야를 줄이고 수익성이 있는 새로운 먹거리를 찾는 과정에서 기업금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안정적인 자금 조달 가능
캐피털사의 자산 대부분은 기업 운전자금이나 사업자금 등을 지원하는 대출채권으로 구성된다. 자금 지원을 받은 기업의 실적이 나빠지면 투자금 회수가 어려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대로 기업 실적이 개선되면 영업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이런 사업 특성상 고위험 자산군에 속하는데도 금융지주들은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캐피털 사업을 통해 기업 투자 펀드를 조성하는 등 신규 사업 발굴에 힘을 쏟고 있다. 캐피털사의 전통 사업이었던 자동차담보대출과 리스 등 자동차금융 분야가 카드사 등과의 과당경쟁 탓에 수익성이 떨어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증권사와 은행 캐피털사 등 계열사가 연계해 진행하는 글로벌투자금융(GIB) 분야에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는 것도 사업을 강화한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캐피털업계 관계자는 “과거 금융지주가 수익을 내던 예대금리차(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차이) 중심의 사업 대신 ‘투자은행’ 역할이 중요해지는 추세”라며 “우량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지주사 캐피털에서 발행해 수익을 올리는 등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기업금융 비중이 높은 캐피털사의 건전성 관리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경기가 나빠지면 기업의 순이익이 감소할 가능성이 커 연체율을 방어할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부동산 경기 영향을 크게 받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대표적이다. 캐피털사들은 기업금융의 부실 위험에 대비해 플랫폼 금융 등으로 사업을 분산할 계획이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