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본 생산성 및 재무성과 지표 비중은 현재 10점에서 20점으로 높이기로 했다. 현재 8.5점이 배정된 ‘보수 및 복리후생관리’ 지표와 2점으로 정해진 ‘조직·인사관리’ 지표 비중도 더 확대하겠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정부는 또 개별 공공기관들이 마련하고 있는 혁신 계획을 얼마나 잘 수립했는지, 얼마나 잘 지키는지에 따라 최대 5점의 가산점을 부과한다. 자발적으로 개혁에 적극 동참하는 공공기관에 인센티브를 주겠다는 취지다. 구체적인 지표는 다음달 최종 발표한다.
정부는 공공기관에 직무급제를 확산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 직무급제 도입 수준이 높은 기관에 총인건비를 인상해주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연공서열 중심의 현행 인사 시스템은 인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결과다. 공공기관의 직급체계도 축소해 직무·보직 중심으로 조직체계를 전환한다는 게 정부 목표다.
공공기관의 예비타당성조사 의무 시행 요건은 대폭 완화한다. 현재는 총사업비가 1000억원 이상이면서 공공기관이나 정부가 500억원 이상 부담하는 사업에 대해 예타조사가 이뤄진다. 기재부는 이 요건을 총사업비 2000억원 이상이면서 기관·정부 부담액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로 조정했다. 공공기관의 사업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현실적 상황을 반영하는 한편 대규모 사업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조치라는 게 기재부 설명이다.
기재부는 변경된 제도를 내년 상반기부터 시행하기 위해 올해 관련 시행령 개정 등의 작업을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최상대 기재부 2차관은 “일각에서 새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을 민영화와 연계지어 비판하고 있다”며 “정부는 (공공기관의) 민영화에 대해 검토한 적 없고, 앞으로도 검토하거나 추진할 계획이 없다”고 강조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