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발표했다. 기존에는 초등학교 17시간, 중학교 34시간이던 소프트웨어교육 시수를 각각 34시간·68시간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고등학교에서는 고교학점제 틀 안에서 학생이 선택해 들을 수 있는 다양한 코딩과목을 신설한다. 국어·사회·과학·수학 등 다른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프로그램도 보급한다.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초등학교에서는 놀이 중심의 알고리즘, 블록 기반의 컴퓨터 언어를 경험해보고, 중학교에서는 코딩을 활용해 실생활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교육과정이 마련될 계획”이라며 “고등학교는 알고리즘의 설계까지 과정에 포함하겠다”고 했다. 구체적인 교육과정과 평가 방법은 이달 말 발표하는 정보 교육과정 시안에 들어간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맡을 교원이 충분히 확보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국 중학교 중 정보교과 정규교원을 보유한 학교는 47.6%에 그친다. 교육부는 교원을 보충하기 위해 정보·컴퓨터 교원 자격증을 보유한 인력, 기간제교원과 전문강사 등을 활용할 계획이다. 농어촌 등 교육소외지역 초등학교(1800개 교)에는 ‘디지털 튜터’를 배치한다.
사교육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018년부터 초·중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수화되면서 이미 한 차례 코딩 관련 사교육 열풍이 불었다.
서울교육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서울시내에서 코딩 과목을 가르치는 학원은 106개다. 강남서초 지역은 2015년 2개에 불과하던 코딩 학원이 2020년 36개까지 18배 늘어났다. 초·중·고교생뿐 아니라 미취학 아동 대상의 코딩 수업까지 등장했는데, 목동의 한 학원은 만 4~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달에 교습비 44만원을 받는 ‘로봇코딩’을 가르치기도 한다. 이번에 필수 수업시수를 대폭 늘리면 이 같은 코딩 사교육 시장은 더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