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책상·보온병까지…中 수입 막히면 '생필품 대란'

입력 2022-08-22 17:24   수정 2022-08-23 01:17

락토핏 당케어 광고 이미지
난각막NEM 광고 이미지
국내 제조업체들은 반도체·자동차 등 핵심 산업의 원자재뿐 아니라 값싼 범용 제품도 중국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지난해 말 요소수 파동으로 촉발된 중국발(發) 공급망 대란에도 중국 수입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국내 제조업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2일 한국경제신문이 산업통상자원부 품목분류체계(MTI)를 통해 분석한 결과 지난해 중국 수입 의존도가 70%를 넘은 상위 72개 품목의 평균 의존도는 81.0%에 달했다. 에스컬레이터(100%), 토스터(98.2%), 보온용기(93.5%), 위생용기(92.7%), 우산·양산(91.5%), 책상(90.6%)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활필수품의 중국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들 제품의 특징은 인건비를 비롯한 비용 등의 문제로 국내에선 더 이상 대량 생산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국내 보온용기 제품 수출액은 수입액의 2.2%에 불과하다. 위생용기(2.8%), 우산·양산(1.1%), 책상(5.2%)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컬러강판의 일종으로, 건축 내·외장재와 가전제품 등에 두루 활용되는 착색아연도금강판도 중국산 비중이 높았다. 올해 1~5월 착색아연도금강판 전체 수입액은 1억4118만달러(약 1900억원)에 달했다. 이 중 99.2%가 중국에서 수입됐다.

전문가들은 중국에서 원자재와 1차 가공 소재를 들여와 국내에서 완제품을 제조하는 현 공급망 구조상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원자재가 워낙 다양한 데다 거리도 가까워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작년 말 요소수 파동처럼 중국에서 소재 및 원자재 공급이 중단될 때다. 국내 기업이 요소수처럼 단기간에 생산시설을 증설할 수 없는 상황에서 중국산 범용제품 수입이 끊기면 공급망이 큰 타격을 받아 ‘생활필수품 대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봉만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본부장은 “한국 경제는 중국 등에서 저렴하게 원자재를 들여와 제품을 만들어 수출하는 글로벌 밸류체인을 통해 성장해왔다”며 “요소수 파동처럼 공급망 리스크가 언제든지 현실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도 지난해 말 요소수 파동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주요 핵심 품목을 대상으로 공급망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업체들이 높은 중국 의존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중국 업체의 잇단 ‘갑질’에 시달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 지역 내 대체 국가를 발굴해 공급망 거점 다변화를 서둘러야 한다는 설명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