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컴투스는 서울 여의도동 콘래드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송재준 컴투스 대표(사진)는 “메타버스는 ‘넥스트(차세대) 인터넷’이 될 것”이라며 “현실과 닮아 있으면서도 현실의 한계를 초월하는 가상세계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컴투스는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 컴투버스를 통해 메타버스 사업을 벌이고 있다. 지난 4월 컴투스가 자회사 위지윅스튜디오, 손자회사인 융합현실(XR)기업 엔피 등과 함께 설립한 합작기업(조인트벤처)이다.
송 대표는 “그간 쌓은 게임·콘텐츠 역량을 메타버스 사업에 투입할 것”이라고 했다. 메타버스 사회를 만들어 운영하려면 3차원(3D) 그래픽 콘텐츠를 많은 이들에게 동시에 서비스하는 게 중요한데, 이런 측면에서 게임 기업이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현실을 가상세계로 완전히 옮겨놓는 일은 3D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을 개발해 운영해본 기업만 할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컴투스는 스페이스 스케일링이라는 자체 개발 신기술로 이용자의 대규모 동시접속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하면 공간·채널당 동시 접속할 수 있는 이용자가 수십~수백 명 단위로 제한적인 다른 메타버스 플랫폼과 차별화를 이룰 수 있다.
컴투버스는 메타버스 세상을 공적(퍼블릭) 영역과 사적(프라이빗) 영역으로 나눠 설계한다. 퍼블릭 메타버스는 이용자 간 교류 기능에 중점을 둔다. 현실의 공원·광장과 비슷한 기능을 할 전망이다. 프라이빗 메타버스에선 기업 등이 건물을 올려 오피스·커머스 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메타버스 오피스는 올 4분기 컴투스 구성원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 컴투버스는 내년 2분기엔 기업·크리에이터·개인 등을 대상으로 프라이빗 메타버스 ‘토지 분양’에 나선다. 공간 부지 가격은 고정가로 책정해 판매할 예정이다. NFT(대체불가능토큰)를 활용해 이용자 간 2차 거래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정 공간에 수요자가 몰릴 경우 분양가보다 높은 가격에 메타버스 공간 부지를 팔 수 있다는 얘기다.
일반 사용자를 위한 상용화 서비스는 2024년 1분기에 시작할 예정이다. 이 기간 엔터테인먼트를 비롯한 개인·소상공인 대상 서비스를 확장한다.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 가상 스튜디오 ‘UGC’ 서비스도 들인다.
다양한 현실 생활 서비스를 메타버스에 넣기 위해 생태계 협업 파트너를 늘릴 계획이다. 컴투스는 이날 KT가 컴투버스와 협업한다고 공개했다. SK네트웍스, 하나금융그룹, 교원그룹, 교보문고, 한미헬스케어, 브랜드X코퍼레이션, 마이뮤직테이스트 등과도 메타버스 사업을 협력한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