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다 문재인 정부 들어 최저임금 인상 폭주를 보며 정치를 해야겠다고 결심했다. “좋은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정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최저임금 인상부터 주 52시간제까지 잘못된 정책이 어떻게 불평등을 심화시켰는지를 다룬 <정책의 배신>을 출간했고, 그해 베스트셀러가 됐다. ‘포퓰리즘 파이터’라는 별명을 얻은 게 그때다.
21대 총선 때 그를 서울 서초갑에 공천한 김형오 당시 미래통합당 공천관리위원장은 “원칙과 소신 있는 목소리를 내온 대표적인 학자”라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윤 전 의원의 전문성이나 인지도 등을 감안했을 때 얼마든지 지역구 출마가 가능하다고 판단했고, 적중했다.
‘염치 있는 정치’를 외치며 1년여 만에 의원직을 던지긴 했지만, 윤 전 의원은 여전히 장외에서 원칙과 소신을 지키는 행보를 계속하고 있다. 의료에서 시작해 연금으로, 복지를 연구하다 보니 재정까지 섭렵하게 된 그의 경력은 단단한 재료가 됐다. 정치인으로서 경험한 정책 소통 능력은 그의 또 다른 무기다. 윤 전 의원은 “작금의 정치는 진영 간 갈등을 오히려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왜곡의 정치를 넘어서기 위해선 사심이 아니라 공인 정신으로 무장한 능력 있는 새로운 세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정치인이 되겠다”는 게 그의 포부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