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부유한 경제 가난한 행복>은 아니라고 말한다. 국민들의 행복과 삶의 질은 한국 경제의 성장을 따라가지 못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더 나은 삶 지수(BLI)'에서 한국의 삶의 질은 조사대상 35개국 가운데 29위(2017년 기준)에 그쳤다는 점이 이를 보여준다. 이는 주거와 소득, 직업, 건강 등을 국가별로 종합한 지표다. 행복한 삶이 경제 성장의 결실로 마땅히 주어질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것이다.
저자인 이내찬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제 성장으로 국가의 부가 증가한다고 해서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이 교수는 행복한 나라가 되기 위해선 사회구조적 환경의 질적인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OECD 행복지수를 확장·분석하며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위해 성장과 분배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자는 '국민총행산(GNHP·Gross National Happiness & Product)'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냈다. 국민총생산(GDP)에 '행복'이라는 지표를 포함한 개념이다.
이 책은 총 8장으로 구성됐다. 경제 성장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고찰했다. 삶의 질을 행복지수로 읽어냈으며 집단 속에서 소외되는 개인의 삶에 대해서 짚었다. 포용적 복지를 어떻게 구현할까 살피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행복을 수치화할 수 있을까’, ‘집단은 수평이 될 수 없을까’, ‘정부가 커지면 혜택도 커질까’와 같은 질문의 답을 얻을 수 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