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에 이어 바이오의약품에서도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정책을 추진할 전망이다. 반도체 부문에선 첨단 기술의 중국 수출 제한을 개별 기업에서 산업 전반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1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 내 바이오 생산설비 확대를 지원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곧 서명할 계획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행정명령 초안은 신약부터 생체 조직, 연료, 식품에 이르는 바이오 제품과 재료의 미국 내 제조 시스템을 강화하는 전략을 담고 있다. 고급 인재 육성 계획도 포함했다. 미 행정부는 이 전략을 통해 자국 바이오 업체가 생산비를 낮추고 공급망 안정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미국은 바이오부문 연구개발(R&D)에선 세계를 선도하고 있지만 생산설비는 다른 산업들처럼 상당 부분을 해외로 외주화했다. 미국 국가안보와 정보 담당자들은 첨단 제품 생산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바이오산업의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됐다.
중국은 지난 5월 신기술 개발, 헬스케어·농업·연료 산업 육성 등을 담은 바이오경제 개발 5개년 종합 계획을 내놨다. 반도체에 이어 바이오 부문에서도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미국 상무부가 중국에 대한 첨단 반도체와 관련 기술 및 장비 수출을 제한하는 법안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상무부는 앞서 반도체 장비업체인 KLA, 램리서치, 어플라이드머티리얼스 등 3개 사에 14㎚(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이상급의 첨단 반도체 생산에 활용하는 장비를 중국에 수출할 때 허가를 받도록 하는 규제를 부과했다.
상무부는 또 최근 엔비디아와 AMD의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칩에도 같은 제한을 내렸다. 중국 주요 기업들이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등에 활용해 온 반도체여서 중국 AI 산업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상무부가 준비하는 법안은 이제까지 개별 기업마다 부과했던 제한을 산업 전반으로 확대하는 내용이다. 중국에 수출할 수 있는 제품이나 기술을 일정 수준 이하로 통제하겠다는 시도다. 예컨대 엔비디아의 칩을 장착한 서버를 중국에 수출하는 델이나 HP도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미국은 이런 제도를 우방국들에도 도입해 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