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노조들이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6년 만에 총파업에 들어간다.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등 3고(高) 여파로 민생 경제가 위협받는 가운데 평균 연봉이 1억원을 웃도는 은행원들이 파업에 나서는 것이다. 부정적인 여론을 의식한 시중은행 노조의 파업 참여율이 저조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오는 16일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 일대에서 총파업 집회를 열고 용산 대통령 집무실 인근인 삼각지역까지 행진한다.
금융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에서 △임금 6.1% 인상 △주 36시간(4.5일제) 근로 △영업점포 폐쇄 중단 △정년 연장 및 임금피크제 개선 △공공기관 혁신안 폐기 △산업은행 본점 부산 이전 계획 철회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 혁신안 폐기와 산업은행 부산 이전 계획 철회는 사측 대표기구인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가 결정할 수 없는 문제라는 점에서 애초부터 노사 협상 안건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많다.
이번 파업의 관건은 시중은행의 파업 참가율이 될 전망이다. 본사 이전 문제가 걸린 산업은행을 비롯해 개혁 대상으로 지목된 금융공기업 노조에 비해 시중은행 노조의 파업 동력은 상대적으로 약한 편이기 때문이다. 2016년 금융노조 총파업 때도 은행권 참가 인원은 1만800여 명으로 전체 은행원의 15%에 불과했다.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파업 참가율은 2.8%에 그쳤다. 이번 파업도 ‘귀족 노조의 이기주의’라는 비판적인 여론이 많은 만큼 시중은행 노조의 파업 참가율이 저조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금융노조가 총파업을 하더라도 고객 불편이 크지 않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 비대면 금융 거래가 확산하는 가운데 코로나19 사태 이후 은행 창구를 찾는 고객 발길은 더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이미 시중은행의 예·적금과 대출 상품의 비대면 거래 비중은 70%를 웃돈다.
하지만 15일부터 접수하는 정책금융상품인 ‘우대형 안심전환대출’은 업무 차질 우려가 제기된다. 시중은행은 대기 없이 상담 가능한 콜봇 서비스와 모바일 비대면 신청 시스템 등을 갖췄지만 디지털 금융 거래가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은 은행 점포를 찾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 시중은행 영업담당 임원은 “파업 참가자가 많은 영업점엔 본점 직원들을 파견해 금융 소비자의 불편이 없도록 할 계획”이라며 “총파업 당일 일손이 부족해 문을 닫는 점포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