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장은 “보이스피싱·전세사기·펀드사기 등 민생 침해범죄와 디지털 성범죄를 비롯한 성폭력, 스토킹, 가정폭력과 같은 아동·장애인·여성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강력범죄에 더욱 엄정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피해자의 일상회복을 적극 지원하고 범죄수익을 박탈함으로써 ‘범죄는 이익이 되지 않는다’는 원칙을 확립해야 한다”고 했다.
이 총장은 “여러 해 동안 검찰 제도에 대한 끊임없는 논란과 함께 검찰의 잣대가 굽었다 펴지기를 거듭했다”며 “손잡고 협력해도 부족한 여러 형사사법기관과의 관계도 제자리를 찾도록 재정립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주어진 환경과 조건을 탓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며 “눈에 보이는 제도나 권한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국민에게 헌신하겠다는 뜻과 의지”라고 했다.
이 총장이 임명되면서 133일간 이어진 총장 공백이 해소됐다. 검찰 내 대표적 특수통으로 꼽히는 이 총장은 대검 수사지원과장·수사지휘과장,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 대검 차장검사 등을 거쳤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