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영국 정부 포털사이트에 따르면 영국은 취업 제안이나 고용 계약이 없더라도 세계 명문대 졸업생에게 한해 취업 비자를 내주는 ‘고도 인재 비자(HPI)’ 제도를 지난 5월 30일부터 운용하고 있다.
하버드대 등 미국 대학이 20곳으로 절반을 넘었다. 캐나다와 호주도 각각 3곳과 1곳의 대학이 지정됐다. 유럽에서는 스위스가 2곳, 독일 프랑스 스웨덴이 각각 1곳의 대학이 이름을 올렸다.
아시아 지역 대학은 8곳이 포함됐다. 일본은 도쿄대와 교토대, 중국은 베이징대와 칭화대 등 두 곳씩 지정됐다. 홍콩(홍콩대, 홍콩중문대)과 싱가포르(싱가포르국립대, 난양공대) 등도 두 곳씩 이름을 올렸다. 반면 한국은 1곳의 대학도 비자 우대 혜택을 받지 못했다. 아시아 지역 경쟁 대학에 비해 낮은 순위가 발목을 잡았다는 설명이다.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기관인 ‘타임스고등교육(THE·Times Higher Education)’의 2022년 평가에서 한국에서 순위가 가장 높은 서울대는 54위에 그쳤다. KAIST(99위)와 성균관대(122위)도 100위권 안팎이었다. 미국 ‘US뉴스앤드월드리포트’의 2022년 순위에서는 서울대가 130위, 성균관대와 고려대가 각각 230위와 272위였다.
비자 우대 학교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딴 졸업생은 2년, 박사는 3년짜리 취업 비자를 받는다. 미국 등 다른 나라의 취업 비자와 달리 현지 기업의 취업 제안이나 고용계약이 없어도 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가족을 동반할 수 있고, 일정한 자격을 갖추면 장기 고용 비자로 전환도 가능하다. 국적을 따지지 않기 때문에 지정 대학을 졸업한 한국인도 신청할 수 있다.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회) 이후 유럽 지역에서 인재를 불러 모으기 어려워지자 시선을 전 세계로 돌렸다는 분석이다. 대상 학교의 절반 이상이 미국 대학인 데서 보듯 ‘글로벌 인재 블랙홀’인 미국을 견제하는 정책으로도 해석된다.
세계의 인재들이 미국으로 몰리는 경향이 뚜렷한 가운데 영국 외에 캐나다 싱가포르 등도 다양한 우대책으로 인재를 유치하고 있다. 태국은 이달부터 10년짜리 장기 비자를 도입해 인재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전기차와 디지털화 등 차세대 산업은 ‘제로(0)’에서부터 경쟁이 시작된다. 그만큼 인재만 확보하면 단숨에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게 태국 정부의 계산이다.
전문가들은 선진국 정부가 구체적인 대학 이름까지 거론해 젊은 인재를 불러들이기 시작했다는 데 주목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전문지식을 갖춘 인재를 확보하려는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자 정부가 직접 선점 경쟁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