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과 수소에너지는 상호 대립적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원자력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의 한 종류이고, 수소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는 물의 전기분해 방식은 전기가 필요하다. 원자력이 신재생에너지 발전(풍력, 태양광 등)의 부족한 전력량을 채워주는 지원군 역할을 맡게 된 것이다.
맥킨지는 2050년까지 국내에서 약 1690만t의 수소가 사용될 것이며 그중 수송 분야에서 약 540만t이 쓰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렇다면 굳이 수소를 생산하고 이송 후 다시 연료전지를 통해 전력을 재생산하는 것보다 원자력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해 운송하면 되지 않느냐는 의문이 생길 수 있다.
배터리 기술은 이미 완숙한 수준까지 올라와 자동차산업에서 수소연료전지보다 전망이 좋아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대용량 배터리가 요구되는 상용차(트럭, 버스)나 가벼운 무게가 필수적인 무인 항공 드론의 경우 배터리 무게로 인해 배터리의 활용이 제한된다. 이런 배터리의 한계로 인해 상용차 및 무인 항공 드론 분야는 수소연료전지의 적용이 기대되며, 배터리와 수소가 경쟁관계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가 될 수 있다. 지난달 20일 K택소노미 개정안 초안 발표는 원자력 발전으로 생성한 전기로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이른바 ‘핑크수소’의 실현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권순용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석사과정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