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연구소들 가운데 '데이터 관리계획(DMP)'을 세우지 않은 곳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5일 카카오 데이터센터 사태로 데이터 관리 및 백업 필요성이 급부상한 가운데, 국민 세금으로 창출한 연구 데이터 관리에 연구소들이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53개 기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과기정통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산하 25개 출연연구소 중 DMP 수립 비율은 59.8%에 불과했다.
DMP는 연구 과정에서 산출된 데이터를 생산·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말한다. 2019년 9월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DMP 개념이 신설됐지만, 의무사항은 아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녹색기술센터, 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등 9곳은 국가 R&D 과제에 대한 DMP 수립 건이 '0'건이었다.
4대 과학기술원(KAIST UNIST DGIST GIST)은 DMP 수립 비율이 전체 평균을 훨씬 밑돌았다. KAIST는 2020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국가 R&D 과제 4956건을 수행하면서 63건(1.3%)만 연구데이터 관리계획을 제출했다. UNIST(1.9%)도 비슷했다. DGIST(0.8%)와 GIST(0.2%)는 1% 미만이었다.
반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일부 기관은 DMP 수립 비율이 70% 안팎으로 높았다.
한국과 달리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은 국가 자금을 투입해 산출한 논문·보고서, 데이터 등 연구 성과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2003년 50만달러를 넘는 과제에 대해,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2011년 1월부터 모든 연구과제에 DMP를 제출하도록 의무화했다.
국회 과방위 소속 정필모 의원은 "귀중한 연구 실험 데이터를 공공 자산으로 관리 보존하고 후속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DMP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