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먹통 사태 해법을 두고 시장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7일 이번 사태와 관련해 독과점 문제를 거론하면서다. 시장에선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자율규제를 강조해온 윤석열 정부가 정책 방향을 선회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하지만 경쟁법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획일적 규제로 흘러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획일적 규제가 아니라 경쟁 촉진이 궁극적 해법이라는 것이다.
카카오는 인수합병(M&A) 전략을 통해 돈 되는 사업에 공격적으로 뛰어들면서 데이터센터 이원화 등 기본적인 투자를 방기했고, 그 민낯이 이번에 드러났다는 것이다. 이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이 데이터센터에 집중 투자하고 재난 대비 훈련도 철저히 하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전문가들이 섣부른 플랫폼 규제에 신중해야 한다고 주문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우선 텔레그램, 라인 등 대체재가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메신저 갈아타기’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카카오 등 토종 IT업체를 과도하게 규제할 경우 결과적으로 구글, 아마존 등 해외 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 있다. 김 교수는 “플랫폼은 장벽이 낮아 언제든지 다른 서비스로 이동이 가능하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서비스 안전성과 관련한 ‘핀셋 규제’에 대해선 대체로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황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단기적으론 정보통신망법 등을 개정해 재난 시 대응 방안 등 안전장치를 마련하고, 장기적으로는 카카오 외에 다른 대체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경쟁구조 활성화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카카오 사태에 대해 “안보 측면에서 재난을 일으킬 수 있는 분야는 정부가 개입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 메신저를 전 국민이 사용하고 있고 금융, 결제, 인증 등 전 분야에서 기간망처럼 카카오가 침투해 있어 최소한의 국가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IT업계는 향후 공정거래위원회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공정위는 지난 정부에서 온라인 플랫폼 규제책 3종 세트를 추진하다가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뒤 자율규제로 방향을 바꿨다. 이와 관련, 공정위 관계자는 “현재 준비 중인 추가적인 플랫폼 규제책은 없다”며 “다만 심사지침 제정에 속도를 내고, 플랫폼 독점이 소비자 피해로 연결되는지 여부는 더 주의 깊게 살펴볼 생각”이라고 했다.
이지훈/김소현 기자 liz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