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정치권의 의혹 제기에 이어 금융감독원 조사까지 이어지자 사임을 택했다. 윤한홍·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달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김 회장 아들이 다니는 한양증권이 BNK금융 계열사 발행 채권 인수단에 선정돼 채권을 대량으로 인수했다는 ‘일감 몰아주기’ 의혹을 제기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2019년 1000억원이었던 한양증권의 BNK금융 계열사 채권 인수 물량은 김 회장 아들이 한양증권 대체투자업센터장으로 이직한 2020년 이후 올해 8월까지 총 1조1900억원으로 급증했다.
금감원은 지난달 18일부터 BNK금융과 BNK캐피탈, BNK자산운용에 대해 현장검사를 벌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BNK그룹이 외풍에 흔들리고 있다는 점에 부담을 느껴 김 회장이 사임을 결심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BNK금융에 사장급 임원이 없다는 점에서 지주 비상임이사이자 자회사 대표를 맡고 있는 안감찬 부산은행장(59)과 이두호 BNK캐피탈 사장(65)이 차기 회장으로 거론된다. 안 행장과 이 사장은 김 회장과 각각 부산대, 부산상고 동문이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외부인사가 선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금융권은 보고 있다. BNK금융에는 회장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거나 그룹 평판을 저해할 경우 퇴임 임원 등 외부인사도 회장 후보군에 포함하는 예외 규정이 있어서다. 외부인사 제한이 다른 금융사에 없는 폐쇄적이라는 비판이 있어 이사회가 규정을 바꿀 가능성도 있다.
외부인사 중에선 이명박 정부 시절 금융권 ‘4대 천왕’으로 불린 이팔성 전 우리금융 회장(78)을 비롯해 경남은행장을 지낸 박영빈 건설공제조합 이사장(68)과 빈대인 전 부산은행장(62), 손교덕 전 경남은행장(62), 부산시 경제부시장을 지낸 김규옥 수협중앙회 감사위원회 위원장(61) 등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부산은행 노조는 외부인사 선임에 반대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낙하산 인사를 막기 위해 마련한 규정이 지켜져야 한다”며 “지역경제를 잘 아는 내부 출신이 회장으로 선임돼야 한다는 게 지역민의 목소리”라고 지적했다. 금융권에서도 지분이 전혀 없는 민간 금융사 인사에 정부와 정치권이 개입하는 행태가 되풀이되는 것 아니냐는 비판적인 시각이 많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