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이 주당 3800원에 산 펨트론, 1만원에 IPO 추진

입력 2022-11-09 14:41  

이 기사는 11월 09일 14:41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3D 검사장비 전문기업 펨트론이 코스닥 입성에 도전한다. IT 전자제품을 비롯해 반도체, 2차전지 부품 등의 검사 장비를 개발하는 회사다. 이 회사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23.3%로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왔다. 상장 후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전장 분야로 검사 영역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탄소나노튜브 제조사 제이오와 전자책 플랫폼 밀리의서재가 잇달아 상장을 철회한 가운데 기업공개(IPO) 시장의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년 업력의 3D 검사장비 제조사
2002년 설립된 펨트론은 3D 검사장비를 제조 및 판매하는 검사장비 전문기업이다. 이 회사가 제조하는 장비는 크게 SMT, 반도체, 2차전지 등 세 가지 부문으로 나뉜다. 이중 SMT란 표면실장 기술로 IT 전자제품을 자동 조립하는 공정을 말한다. SMT 장비는 주로 스마트폰, 냉장고, TV 등 사물인터넷(IoT) 분야 기기를 검사하는 데 사용한다. 이 장비는 인쇄회로기판(PCB) 위의 납 도포 상태를 검사하는 3D SPI, 부품의 실장 상태를 검사하는 3D MOI, 장착 부품을 검사하는 3D AOI 검사장비로 구성된다.

펨프론이 공급하는 AOI와 MOI 장비는 8곳에서 동시에 조명을 비춰 부품을 촬영하는 ‘모아레 8-웨이 프로젝션 ’ 3D 기술이 적용됐다. 이를 통해 더욱 선명한 3D 이미지를 구현하고 높은 검사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장비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도 펨트론의 강점이다. 이 회사는 소형 장비부터 중대형 장비까지 다양한 크기의 장비를 제작한다. 고객사는 맞춤형 크기의 장비를 주문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펨트론은 반도체 후공정 검사 솔루션도 제공한다. 반도체 웨이퍼 범프, 와이어 본딩, 패키지 외관, 메모리 모듈 등을 검사하는 것이다. 펨트론은 해외 경쟁사들이 독점적으로 제공하던 검사장비를 국산화했다. 회사 측은 "자체 개발한 검사 장비는 세계 최고 속도의 웨이퍼 검사 능력과 고속 및 고해상도 범프 검사, 높은 패키지 검사 등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다"며 "웨이퍼 검사장비 중 하나인 플립칩 볼 그리드 어레이(FC-BGA) 범프 검사장비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상하면 동시 검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2차전지 검사 장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2차전지 수요가 급증하자 2019년 세계 최초로 2차전지 리드 탭 인라인 검사장비를 개발했다. 자체 개발한 자동 비전 검사 시스템을 통해 리드 탭의 표면 결함과 치수 등 형태를 자동으로 검사하고 제조 과정 후 생기는 불량을 파악해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 적재하는 장비다. 펨트론은 개당 1.6초의 검사 속도를 구현하고 고객사 시스템별 맞춤 검사가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이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리드 탭 제조 장비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했다. 회사 측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2024년 2차전지의 다양한 분야의 검사 장비를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융합 기술로 승부
펨트론는 회사의 경쟁력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융합 기술력이라고 말한다. 검사장비를 직접 제조할 뿐만 아니라 3D 체계 알고리즘과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는 것이다. 이 회사는 하이브리드 3D 첨단광학 설계 기술 등을 자체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3D 검사역량을 고도화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상하면 동시 검사 솔루션 개발에 성공한 것도 이런 기술력이 뒷받침됐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회사 관계자는 "하이브리드 3D 광학 설계 기술은 펨트론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기술"이라며 "높은 신뢰도의 데이터와 외관검사 무인화 솔루션을 제공하며 3D 검사 효율을 극대화했다"고 말했다.

펨트론은 3D 검사장비 분야에서 60여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기술력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2021년엔 매출의 15%를 연구·개발에 투자했다. 최근 연구인력도 늘렸다. 2004년 설립된 기술연구소의 연구인력은 전체 임직원(190명)의 절반 이상인 100명이다. 이 중 60% 이상은 소프트웨어 전문 연구원으로 구성됐다.

연구개발 투자는 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펨트론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77억, 42억 원으로 나타났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연평균 20% 이상 성장했다. 올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42억과 15억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상반기 수주잔고는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한 303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 회사는 상장 후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펨트론은 전 세계 20개국, 300여개 기업으로 장비를 수출하고 있다. 중국과 대만,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를 비롯해 유럽,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 글로벌 기업에 연간 400대 이상을 공급하고 있다. 중국 가전기업 메이디(MIDEA)와 전자제품 제조기업 카이파(KAIFA)와는 2011년부터 오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회사 측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하기 위해 우량 고객사를 중심으로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국내외 대기업들과는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고 반도체 후공정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이밖에 1차 협력사에 장비 공급을 추진하는 등 단·중기 전략을 통해 고객사를 확대할 계획이다.
◆주관사 하나증권 '잭폿' 예고
펨트론은 이번 상장으로 총 110만주를 공모해 110억~121억원을 조달한다. 상장 주관사인 하나증권은 펨트론의 기업 가치를 1454억원으로 평가했다. 비교기업인 고영, 엔시스, 이엘피, 디아이 등 7개 사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R) 26.58배를 적용해 기업가치를 도출했다. 공모가는 주당 평가가액에서 19.22~26.56% 할인한 1만~1만 10000원으로 제시했다. 공모 후 예상 시가총액은 1067억~1174억원이다.

IB 업계는 펨트론의 상장으로 주관사인 하나증권이 상당한 투자 수익을 올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나증권은 2018년 9월 펨트론에 약 20억원을 투자해 52만6315주(지분율 5.51%)를 보유하고 있다. 주당 취득가액은 3800원이었다. 공모가가 희망 가격범위에서 결정되면 투자 대비 약 세배의 시세차익을 올릴 수 있는 셈이다. 다만 하나증권이 보유한 주식은 상장 후 6개월간 매도가 불가하다.

펨트론은 오는 15~16일 일반청약을 진행하고 이달 중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상장 후 유통 가능 물량은 36.81%로 다소 많은 편이다. 유영웅 대표이사는 “펨트론의 목표는 반도체, 2차전지까지 모든 분야의 1위 3D 검사기업이 되는 것”이라며 “이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최첨단 3D 검사장비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