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이 주방에서 제일 오랜 시간을 보내는 공간은 씽크대다. '개수대'로 불리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싱크볼'에서 요리 전 재료를 씻거나 다듬고, 요리 후엔 설거지를 하기 때문이다. 1964년 설립된 백조씽크는 58년간 '싱크볼 제조' 외길을 걸어온 업계 최장수 기업이다. 특히 중장년층에게 '백조표'는 싱크볼의 대명사로 알려진 친근한 브랜드다. 국내 싱크볼 시장점유율 50%로 업계 1위인 백조씽크는 지난해 내수와 수출 호황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대비 36% 급증했다.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미국에 싱크볼을 수출하는 이 회사는 내년 1월부터 세계 최대 싱크대 제조업체에 납품하기로 하면서 유럽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전망이다.
지난 9일 서울 동대문 청계천로에 있는 백조씽크 본사를 방문해보니 2층에 업계 유일한 싱크볼 전용 쇼룸이 있었다. 이 회사가 내수 및 수출용으로 판매하는 30여가지 싱크볼을 만나볼 수 있다. 국내에선 대우건설, 현대건설, 삼성물산 등 대형건설사와 한샘, 리바트, 에넥스 등 가구업체 혹은 기업 소비자간 거래(B2C) 시장을 통해 싱크볼을 판매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프리미엄 씽크볼 '깜뽀르테'다. 조용하면서(Calm) 강하다(Forte)’는 뜻의 브랜드명답게 세계에서 유일하게 3중 특수패드가 부착돼 물이 떨어질 때 나는 소음도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종욱 백조씽크 대표는 "주방가구의 본고장인 유럽과 미국에서도 아직 나오지 않은 기술"이라며 "일본에 비슷한 제품이 있지만, 비교 테스트해본 결과 백조씽크가 훨씬 조용했다"고 말했다. 스테인리스 재질의 가장 큰 약점인 흠집(기스)도 생기지 않는다. 이중 앰보패턴으로 표면을 마감했기 때문이다. 또 특수코팅을 거쳐 물얼룩이나 녹발생도 없다. 여기에 업계에서 유일하게 자체 프레스 금형을 직접 만들어 제작하는 성형기술도 디자인을 돋보이게 했다. 업계 최초로 싱크볼 모서리별 곡률 반경을 '20R'(20㎜의 반지름을 가진 원의 휘어진 정도)로 만들어 동종제품보다 20%가량 더 많은 물을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대표는 "주방의 명가인 이탈리아도 아직 이러한 기술이 없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동종 업계에서 유일하게 디자인팀과 기술연구소를 갖춘 데다 충북 음성의 싱크볼 제조 공장은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우리나라 싱크대 발전의 역사는 이 회사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한다. 이 회사는 1960년대 당시 '계단 놋쇠'라고 불리는 '신주'를 납품하는 삼화금속공업사로 출발했다. 싱크볼 시장에 진출하게 된 것은 한가지 사건이 계기가 됐다.
당시 창업주인 이성진 회장의 부인 조화자 여사는 매일 40여명에 달하는 사내 공장 직원들의 식단을 부엌에 쭈그리고 앉아 준비해야 했다. 하루는 방앗간일에 자녀 식단까지 챙기느라 너무 바쁘고 허리가 아파 직접 목재소에서 각목을 사서 망치질해서 서서 일할 수 있는 입식 부엌을 직접 만들었다.
퇴근하고 돌아온 이 회장은 그 부엌을 유심히 보더니 곧바로 공장에 제작 가능 여부를 타진했고 그때부터 싱크볼 사업에 뛰어들었다. 1971년 에넥스의 ‘오리표’ 싱크대가 나오자, 이를 뛰어넘고자 1972년 ‘백조표’ 싱크대를 출시했다. 이후 에넥스가 종합가구업체로 변신한 반면 백조씽크는 '싱크볼'제조 외길을 고집했다.
싱크볼이라는 말을 처음 만든 것도 이 회사다. 1992년 이 회장은 당시 20대 대학생이던 아들 이종욱 대표에게 백조씽크의 AS기사 일을 맡겼다. 전국 오지를 돌며 싱크대 수리와 설치를 맡아 소비자 불만을 직접 듣는 등 가장 힘든 '밑바닥'부터 경험해보라는 취지였다. 당시 이 대표는 '설거지통', '개수대' 등 마땅한 용어가 없던 이 제품을 고객사에 설명할 때 "큰 '볼(그릇 Bowl)'처럼 생겼다"며 '싱크볼'이라 묘사했고 이게 어느새 업계 표준이 됐다. 이 대표는 "미국에선 '키친싱크'라 부르지만 한국에선 '콩클리시'인 싱크볼이 일반 명사가 됐다"며 "그때 참 많은 가정을 방문해 음료수를 얻어먹어 가며 고객 불만을 청취한 것이 경영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경희대 체육과 출신인 그는 애초 승계할 생각은 없었다고 한다. 스포츠경영을 공부하러 영국 런던대에 유학을 떠났다가 1996년 부친(이성진 회장)이 갑자기 별세하면서 귀국해 회사 경영수업을 받았다. 이후 대표이사는 남편을 여읜 후 조화자 여사가 맡아오다 2018년부터 이 대표가 맡고 있다. 이 회사의 가장 큰 위기는 1997년 IMF 외환위기 때 찾아왔다. 당시 단돈 500만원이 없어 자금난에 부도가 날 뻔도 했지만, 꾸준히 매출이 발생해 버틸 수 있었다. 이 대표는 "그래도 당시 직원들을 한 명도 내보내지 않고 임금도 밀리지 않고 '주5일 단축근무'로 비용을 절감해 위기를 돌파한 것은 큰 자랑"이라고 했다. 경기 침체로 싱크볼 업계 전체 10여곳 중 3~4곳이 폐업했지만, 이 회사는 설비 자동화로 제조원가 경쟁력이 큰 데다 고난도 금형기술이 필요한 제품군을 만들어 장기간 업계 선두자리를 지켜왔다.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507억원으로 전년(373억원)보다 36%급증했다. 코로나19 사태가 한창인 2020년과 2021년 2년 연속 회사 역사상 최대 매출기록을 갈아치운 것이다. 이 대표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싱크볼 교체 수요가 많아졌다"며 "소비자들이 주방가구를 세트로 교체하기보다 싱크볼만 따로 교체하는 수요도 커진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 아마존에서 싱크볼 판매 1위 업체도 이 회사의 제품을 납품받아 판매하고 있다. 국내 싱크볼의 미국 수출 통계는 곧 이 회사의 수출 실적일 정도로 미국에서는 독보적인 지위를 갖고 있다. 이 회사는 내년 1월부터 세계 최대 싱크대제조업체인 유럽의 A사에 제품을 납품하기로 했다. 이 대표는 "배수구가 커 음식물을 담기 편한 한국형 싱크볼이 처음으로 유럽에 본격적으로 선보이는 계기가 된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기업승계와 관련해선 정부의 꾸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자전거가 멈추면 쓰러지듯, 중소기업도 승계를 멈추면 기술도 사장되고 쓰러질 수밖에 없다"며 "대기업처럼 기업의 노하우를 시스템적으로 쌓일 수 없는 중소기업의 특성을 감안해 중소기업의 기업승계도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