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은 용산구에서 받은 ‘10월 29일 용산구청 당직일지’를 근거로 용산구가 그간 이태원 참사 전부터 설치해 재난 상황에 대응해왔다고 밝힌 상황실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용산구는 그간 참사 14분 뒤인 밤 10시29분 소방당국의 연락을 받고 참사 사실을 알았다고 해왔다. 하지만 당직일지에 따르면 당시 당직실은 상황실에서 연락받지도 못했고 당직실의 주요 역할인 비상연락망 또한 가동하지 않았다. 사고 당일 밤 10시45분까지 받은 민원은 총 12건으로 불법 주정차 신고가 11건, 물 넘침 신고가 1건이었다. 이태원 참사 관련 내용은 사고 다음날 새벽 3시부터 시작된다. 자녀가 귀가하지 않았다며 신원 확인을 요청하는 전화였다. 용산구는 이때부터 새벽 5시52분까지 이어진 10건의 이태원 참사 실종자 문의 민원에도 ‘알 수 없다’고만 응대했다.
용산구 측은 참사 다음날인 지난달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박희영 용산구청장이 29일 밤 10시50분께 현장에 도착한 뒤 비상연락망 가동을 지시했고, 11시에는 긴급상황실을 설치해 비상대책회의를 했으며, 30일 0시20분부터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사고 수습 지원에 나섰다고 밝혀왔다. 하지만 당직일지에 따르면 이는 모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는 게 용 의원 측 주장이다.
용 의원은 “박희영 구청장은 ‘상황실이 지휘했다’ ‘긴급상황실을 설치했다’ ‘사고대책본부에 있었다’는 등 계속 거짓 진술을 번복하고 있는데 당직실 상황을 보면 용산구 컨트롤타워는 부재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용산구는 구청 간부를 중심으로 상황실을 설치했다고 해명했다. 당직실 이름이 종합상황실이라서 오해할 수 있지만 별도의 이태원 참사 상황실을 설치했다는 설명이다. 용산구 관계자는 “박 구청장은 밤 11시께 당직실과 별개의 긴급상황실 설치를 지시했고, 현장 구조를 마치고 0시50분에 구청으로 돌아와 회의를 주재했다”며 “당직실에서 이를 모른 것은 당시 긴박한 상황에서 당직실에 내용이 공유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