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제15회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블록체인 기술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가 블록체인 기술을 공공 서비스에 적용한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질병청이 백신접종 증명 서비스 ‘Qoov’를 시작했고, 올해 행정안전부가 도입한 모바일 운전면허증 제도에도 블록체인 기술이 들어가 있다. 인지도가 높진 않았지만 군 장병 전자지갑에 블록체인 기술을 넣거나 기부 플랫폼을 만드는 등 82건에 달하는 시범 서비스가 있었다.
정부는 학생회장 선거, 학부모운영위원회 대표 선출, 정당의 당 대표 경선 등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고,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어 향후 부정 투표 논란 등을 벗어나기 쉬울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블록체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관련 시장을 한층 키우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또 여러 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공적 지원금 사업을 할 때 수급 자격과 이력 정보를 공유하고 관리하는 데도 블록체인 기술을 쓰기로 했다. 지금은 코로나19 지원금같이 사후에 수급 명단을 일일이 대조해서 잘못 나간 돈을 환수하는 식으로 중복 수급을 막고 있다. 앞으로는 공적 지원금 연계 관리시스템을 통해 중복 수급을 사전에 차단하는 방식으로 바꾸겠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아울러 NFT의 법적인 성격을 규정하고 소비자를 어떻게 보호할지 등 시장이 필요로 하는 규제 개선 청사진을 담은 규제 혁신 로드맵도 마련된다. 김민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총괄과장은 “현대백화점과 롯데홈쇼핑의 멤버십이나 할인쿠폰 등 일상에서 NFT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