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5일 “정부의 수출 지원 기능 등을 강화하기 위해 정책조정비서관과 국제법률비서관을 신설할 계획”이라며 “막바지 인사 검증이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다른 고위 관계자는 “일부 수석급과 비서관급 인사 요인이 있어 조직 개편과 함께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신설될 정책조정비서관은 방산, 원자력 등 국가 전략이 필요한 분야의 수출 지원 등을 주로 담당하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김대기 비서실장 직속이 될 국제법률비서관은 검찰과 법무부 출신 인사 등이 검토되고 있다.
조직 개편을 계기로 대통령실 내 일부 업무조정도 이뤄지고 있다. 이 수석은 기존에 맡고 있던 국무회의 외 국정과제점검회의, 국가안전시스템점검회의 등 대통령 주재 회의를 총괄할 것으로 전해졌다. 최상목 경제수석은 거시금융상황점검회의와 비상경제민생회의 등 위기관리 역할에 더 집중하게 될 전망이다.
대통령실 안팎에선 이번 조직 개편으로 정책라인의 ‘이관섭-최상목 투톱 체제’가 더욱 강화될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새 정부 출범 직후 최 수석 중심으로 돌아가던 경제정책 방향이 최근 이 수석과 최 수석 투톱 체제로 안착하고 있다”고 했다. 이 수석은 최근 화물연대 파업 대응, 풍산개 관련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시행령 개정 등 정무적 판단이 필요한 정책 대응을 주도하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신임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역할 분담이 복수 측근을 두고 견제와 균형을 도모하는 윤 대통령의 용인술에서 비롯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수석과 최 수석은 각각 산자부와 기획재정부 출신으로, 업무 스타일도 크게 다르다. 이 수석은 결단력과 추진력에서, 최 수석은 정책 디테일과 깊이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 윤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과 맞물려 대통령실의 인적쇄신론은 ‘쏙’ 들어간 분위기다. 여권에선 이진복 정무수석 후임을 찾고 있다는 얘기도 돌고 있지만, 대통령실은 “확인해 줄 게 없다”는 입장이다. 일각에서 거론하던 김 실장 교체 등 대통령실 전면 개편 목소리도 자취를 감췄다.
대통령실은 이날 김 실장이 윤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이달 중순 아랍에미리트(UAE)를 공식 방문한다고 밝혔다.
좌동욱/이지훈 기자 leftki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