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제도가 가업상속공제다. 10년 이상 경영한 기업인이 가업을 상속할 때 일정 재산을 과세가액에서 공제하는 제도다. 하지만 현장에선 유명무실하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한국의 연평균 가업상속공제 이용 건수는 93건으로 독일(연평균 9995건)과는 천양지차다. 고용 유지와 업종 변경, 최대주주 지분율, 자산 유지 등 지키기 어려운 사전·사후 조건이 주렁주렁 달려 있어서다. 업력이 100년 넘는 초장수 기업이 일본 3만3076개, 미국 1만9497개인 데 비해 한국은 7개에 불과한 배경엔 이런 문제가 깔려 있다.
중소기업 대표의 고령화가 폐업 사태로 이어져 축적된 기술과 일자리가 사장되는 사태를 막는 일이 시급해졌다. 70대 이상 중소기업 대표가 이미 2만 명이 넘는 상황이다.
기업의 지속경영을 위한 가업 승계는 개인이 자산을 물려받는 상속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다. 상속공제 대상이 영업활동과 관련한 기업용 자산으로 한정되고, 지원 세제가 납부 면제가 아니라 ‘징수 유예’인 것만 봐도 그렇다. 과세특례 적용 후 후계자가 경영을 포기하거나, 고용유지 등의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면 고스란히 되물어야 한다.
중소기업은 국가 산업의 허리이자 대부분 국민의 삶의 터전이다. 전체 기업의 99%를 구성하고, 고용의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의 무더기 폐업은 산업 경쟁력의 근간을 허무는 것은 물론 거기서 일하는 직원과 가족의 생계도 끊는다. 기업이 문을 닫거나 회사가 팔리면 더 고통받는 쪽은 경영자일까, 직원과 그 가족일까. 답을 모른다면 근시안적 무지고, 알고도 모르는 체한다면 사이비 진보다. 교조적 진영논리를 버리고 승계 절벽 해결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 야당이 입버릇처럼 외치는 민생과 직결된 문제 아닌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