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현실이 그렇게 녹록지 않다는 사실은 모두가 주지하는 바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국가별 경제 주체들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실질 소득의 총합으로, 국가 간 생활 수준 비교를 위한 지표로 사용된다. 미국 등 23개국은 3만달러 진입 후 평균 6.4년 만에 4만달러 벽을 깼다. 한국은 2017년 3만달러대에 진입했으나 소득주도성장 등의 헛발질로 큰 진전을 보지 못했다. 정부 계획대로 2027년 목표를 달성한다고 하더라도 10년 만에 4만달러 고지에 오르는 것이다.
그러나 이마저 장담하기 힘들다. 강(强)달러와 수출 부진, 연 8~9%에 달하는 대출금리 등 예상치 못한 변수로 성장에 제동이 걸렸다. 지난해 4.1%였던 경제성장률이 내년엔 1%대로 고꾸라진다는 전망이다. 장기적으로도 저출산·고령화 여파로 10년 내 잠재성장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 최저인 0%대로 추락할 것이란 연구보고서까지 나온 터다. 이런 추세를 바꿀 획기적이고 과감한 대책 없이는 임기 내 4만달러 목표는 구두선(口頭禪)에 그칠 공산이 크다.
당정이 밝혔듯이, 구조 개혁을 통해 기업들이 어떻게든 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게 시급하다. 관(官) 주도, 세금 주도 성장의 한계는 이미 확인했다. 가계 부채 때문에 내수가 급격히 회복되기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법인세 3%포인트 인하부터 규제 혁파, 노동·금융·서비스 개혁까지 기업하기 좋은 환경 만들기에 임기 내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4만달러 달성에 필수인 환율 안정도 기업들의 수출 회복 없이는 불가능하다. 과감한 수출 드라이브 정책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유지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함은 물론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