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건설현장이 대규모 미분양과 부동산 경기 하락에 휘청이고 있다. 자금력이 취약한 중소형 건설사는 부동산시장 급랭에 줄폐업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이 같은 사례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올 들어 지난 25일까지 폐업 신고를 한 건설사는 240곳으로 이 가운데 비수도권 업체가 58%를 차지했다. 업계에선 월말까지 문 닫는 건설사가 약 480곳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1·3대책을 통해 전국의 규제가 대거 해제되면서 수도권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마저 기대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올 들어 서울과 지방 아파트의 가격 하락폭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가격은 1.77% 떨어지며 하락폭이 줄어들고 있다.
같은 기간 대구(2.42%) 부산(2.19%) 대전(2.05%) 등은 낙폭이 줄지 않고 있다. 세종은 4.5% 하락하면서 최대 낙폭을 보이고 있다.
미분양 상황도 심각하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서울의 미분양 물량은 865건인데 대구와 경북은 각각 1만1700건, 7667건에 달했다. 충남도 5046건을 기록했고 울산은 울주군에서 미분양 주택이 크게 늘며 2999건으로 증가했다.
업계에선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이후 지방 집값을 견인하던 외지인 투자 비중이 더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서울 등 수도권 투자 여건이 우호적으로 바뀌면서 ‘원정 투자’ 유인이 사라져서다. 지난해 서울 거주자의 지방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19년(5.8%) 이후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 중소 건설사 사업부 관계자는 “미분양 탓에 공사비 정산이 안돼 하도급업체들에 7개월 넘게 돈을 주지 못하고 있다”며 “협력업체에는 줄 돈이 없어 사정하고 입주민에게는 분담금 납부를 부탁하는 현실”이라고 했다.
광주의 한 아파트 재건축 현장 역시 주변 단지들의 미분양이 쌓이자 공사가 1년 가까이 중단됐다. 사업성 우려가 심화한 상황에서 공사비 인상 문제를 두고 주민 간 견해차가 커진 탓이다. 일부 협력업체는 돈을 받지 못해 현장에서 철수했고, 한 업체는 공사비 미지급이 길어지면서 폐업했다.
인근 단지 재건축 현장 역시 미계약 사례가 속출하며 무순위 청약을 진행하고 있지만, 최근 대규모 미분양을 이유로 청약 당첨자가 계약을 거부하면서 오히려 상황이 악화했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대형 건설사는 예비비라도 끌어 쓰지만, 여유 자금이 없는 중소 건설사는 미분양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
관련뉴스